ADVERTISEMENT

교역에선 손해만|「코메콘분업」침체유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체코슬로바키아」가 소련 전차의 위협을 무릅쓰고 자유화를 추진하고있는 절실한 이유의 하나는 경제적인 문제에도 있음을 무시할수 없다.
EEC (구주공동시장)의 동구판이라고도 말할수있는「코메콘」(동구경제상호원조회의)이라는 올가미때문에 「체코」의 경제는 직접간접으로 많은 타격을 입고 있다.

<동구유수의 공업국>
동구공산권의 균형있는 발전에 기여한다는 「코메콘」의 국제분업협력체제가 정치와 「이
데올로기」에 치중, 경제원칙을 무시한 나머지 동구유수의 공업국인 「체코」는 「코메콘」의 다른회원국들, 특히 소련과의 통상면에서 부당한 손실을 입고 있다.
「체코」의 대소통상은 이 나라 총무역액의 약35%를 차지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거의 전
량의 석유와 3분의2정도의 철광석을 소련으로부터 수입하고있는 실정을 고려한다면 대소무역 조건이「체코」경제의 사활에 미치는 비중이 매우 크다는것을 알수있다.

<가격체제를 다원화>
소련원료가 국제시세보다 엄청나게비싼데대한 「체코」의 불만은 폭발적일 만큼 큰것으
로 전해졌다.
소련과 「체코」와의 무역에있어 장부상으로는 언제나 「체코」쪽이 출초현상을 빚어내
「체코」에 유리한듯 하나 「바터」결제를 지주로하는 「코메콘」의 무역구조와 「루블」화의 무교환성으로 「체코」는 사실상 큰손해를 보고있는셈이다.
자본주의경제의 대원칙의 하나인 이윤개념의 도입과 같은 경제개혁은 이미 공산주의의 종
주국임을 자처하는 소련에서까지 실시하고있어 소련이 「체코」사태에 개입할수있는 명분이라는게 경제적 관점에선 허약하기 짝이없으며 여기에서 소련의 대「체코」정책의 한계를 짚어볼수있다.
경제개혁가운데 특히 눈을끄는것은 가격체계의획기적변화를 들수있다.

<공산테두리 못떠나>
이때까지 공정가격뿐이던 이나라 가격체계는 67년1월부터 공정가격·제한가격·자유가격
으로 다원화되었다. 부분적인 시장기능의도입같은것도 사회주의경제에 있어서는 대담한 시도라 아니할수 없다.
「체코」가 이와같이 획기적인 경제개혁에 착수하게된 주된 이유는 50연대에 연평균9·4%였던 공업생산성장율이 63년에 「마이너스」0·6%로 급락한데있었다.
67년엔 7·1%로 꽤회복하였으나 아직 경제의정상화에의 길은 멀다.
따라서 「체코」의 정치가 그렇듯이 경제분야도 어디까지나 『사회주의테두리안에서의 자본주의원칙의 부분적도입』에 그치지 않을수밖에 없는 숙명을 지니고 있다고 볼수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