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88세에 부르는 '여자의 마음'… 비결은 헬스클럽 2시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피아노 앞에서 발성 연습 중인 안형일 교수. 그는 매일 한두 시간씩 이렇게 연습을 한다. [김상선 기자]

“예. 제가 안형일 맞는데요….”

 처음엔 전화를 잘못 건 줄 알았다. 수화기 너머 목소리의 주인이 88세라고 믿기 어려워서다. 안형일 서울대 명예교수의 목소리는 40~50대 남성의 음성과 진배없었다. 밝고 또렷하고 윤기가 흘렀다. 27일 서울 서초동 자택을 찾았을 때도 그는 흐트러짐이 없었다. 가지런히 정리된 수백 장의 레코드판·CD와 스피커, 방 하나를 떡 하니 차지한 그랜드 피아노 앞에서 환하게 웃으며 기자를 맞았다.

 한국 음악계에선 안 교수를 이탈리아 테너 자코모 라우리 볼피(1892~1979)에 빗댄다. 역사상 가장 긴세월(27~67세) 현역으로 활동한 볼피처럼 안 교수 역시 여전히 무대에 서기 때문이다. 지금도 연 2~3회 무대에 설 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들을 가르친다. 발성법을 배우기 위해 안 교수를 찾는 교수들도 있다. 30일 그는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여자의 마음’(La donna e mobile·주세페 베르디 오페라 ‘리골레토’의 주 아리아)을 부른다. 1813년 태어나 (올해가 탄생 200주년) 88세에 사망한 베르디의 곡을 88세의 안 교수가 부르는 거다. 56년 전 안 교수의 데뷔 오페라 역시 베르디의 리골레토였다. 그가 무대에 선 횟수는 1000회가 넘는다.

 - 놀랍다. 건강을 유지하는 비결은.

 “지금도 매일 2~3시간씩 헬스클럽에서 꾸준히 운동한다. 운동을 쉬면 더 힘들다. 발성 연습도 매일 1~2시간씩 한다. 성악이라는 게 몸이 악기니까. 성대도 얼굴과 마찬가지여서 늙으면 늘어지고 탄력이 없어진다. 최고의 테너 플라시도 도밍고(72)도 나이가 들면서 고음 내기가 힘들어 바리톤으로 내려갔다. 세계적인 대가들도 나이들면 어쩔 수 없다. 성악가는 몸이 악기니까….”

 - 30일 무대가 부담되진 않는지.

 “그렇지. 나를 볼피 같은 대가에 빗대 과찬하니까 잘해야 되는데. ‘여자의 마음’은 어려운 곡이다. 음이 높아서 내 나이에 그걸 부른다는 것 자체가 무린데…. 사실 걱정이다. 이번에 같이 무대에 서는 박미혜, 나승서 같은 제자들은 정말 잘하는 성악가들이다. 다들 나보다 잘한다. 전성기가 지난 내가 여기 껴서 한다는 거 자체가 영광이다.”

 제자들과 무대에 서는 게 영광이라는 안 교수지만 “할 건 다 해봤다”고 자평할 만큼 성공한 음악가다. 서울대 교수, 국립오페라단 단장, 한국성악과협회 초대 이사장을 지냈다. 젊은 시절은 달랐다. 안 교수의 삶은 ‘비포장 도로’였다. 평북 정주 출신인 그는 음악을 하기 위해 46년 홀로 월남했다. 북한에 남겨진 가족들과는 그때 이후로 연락이 닿지 않았다.

 - 성악은 어떻게 시작하게 됐나.

 “중3 때 음악선생님이 일본에서 공부한 테너였다. 노래를 시켜보더니 ‘넌 성악해야 된다’고 했다. 그 선생님께 레슨을 받았다. 피아니스트 사모님께는 피아노도 배웠다. 우리집은 부자였다. 피아노도 사줬으니까. 그때가 1940년대 초반인데 내 나이에 그렇게 배운 사람은 거의 없다.”

 - 그런데 왜 혼자서 월남했나.

 “현제명 선생이 만든 경성음악학교(서울대 음대의 전신)에 진학하려고. 그때 평양엔 음악학교가 없었다. 왜 풍악쟁이가 되려 하냐며 집에서 반대가 심했다. 나는 고집을 꺾지 않았고 결국 맨손으로 내려왔다. 어머니가 평양역까지 따라오셔서 지금 돈으로 3만원 정도 주셨다. 그게 전부였다. 그후 엄청나게 고생했다. 미군 장교 하우스보이부터 서울역 앞 지게꾼 상대로 밥 장사까지, 안 해본 게 없었다. 전쟁 때는 손원일 제독이 ‘예술가들을 살려야 된다’며 만든 해군정훈음악대에서 미군 미주리함, 스웨덴 군병원 같은 곳을 돌며 거의 매일 공연했다. 그때 손 제독이 그런 결심을 안 했더라면 우리 예술가들은 다들 죽었을 거다.”

 안 교수는 53년 대학 졸업 뒤 7년간 고등학교 음악교사로 활동했다. 60년 한양대 음대 창립 멤버로 대학교수가 된 뒤 66년 서울대로 자리를 옮겼다. 교직 40년. 그가 키워낸 제자들은 매년 음력 설이면 그에게 세배하러 모인다. 안 빠지고 오는 제지만 50명이 넘는다. 얼마 전부터는 아예 호텔에 함께 모여 합동 세배를 받는 자리를 만들었다. 안 교수가 무대에 서는 그랜드오페라단의 베르디 탄생 200주년 공연 ‘올댓 베르디 올댓 오페라’는 30일 오후 7시30분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 안 교수는 인터뷰 말미에 부인 박영희(79)씨 얘기를 꺼냈다.

 “집사람이 서른 살 때부터 동대문 광장에서 포목상을 해서 나와 자식 3남매 뒷바라지를 했어요. 그만둔 지 한 보름 정도 됐으니까, 거의 50년 동안 고생했죠. 집사람이 희생해준 덕에 오늘도 무대에 서는 내가 있는 거죠.”

 잠깐 인사한 부인 박씨도 활짝 웃었다. 60대 초반이라 해도 믿을 정도의 외모로….

글=한영익 기자
사진=김상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