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서소문 포럼

아파트가 ‘웬수’가 돼서야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2면

신성식
사회부문 선임기자

아파트는 한국 경제가 성장할 때는 말뚝만 꽂으면 불티나게 팔렸다. 소비자도 당첨되면 한몫 잡았다. 손해 보는 이가 아무도 없었고, 자산을 불리는 데는 최고였다. 그런 아파트가 몇 년 전부터 애물단지가 됐다. 집을 팔아도 대출을 못 갚는 하우스푸어까지 등장했다. 수차례 대책을 내놔도 시장은 꿈쩍도 하지 않는다. 이달 초에는 1가구 1주택자의 아파트를 사면 양도세를 면제한다는 과감한 정책까지 나왔다. 집 한 채 소유자의 부담을 덜려는 의도에서다.

 집 한 채 부담은 세금만이 아니다. 더 괴로운 게 재산 건강보험료다. 직장이 없는데 1억원짜리 아파트 한 채 있으면 10만원이 넘는 재산 건보료를 내야 한다. 소득은 없고 집 한 채만 있는 지역건보 가입자가 70만 가구가 넘는다. 노인만 13만 가구다. 집을 세내 수입이 생기면 건보료를 내는 게 당연하다. 내가 사는 집에다 건보료를 물리니 환장할 노릇이다. ‘소득 있는 곳에 보험료 있다’는 사회보험의 원리가 통하지 않는다. 세금이야 1년에 두 차례만 내면 되지만 건보료 고지서는 매달 나온다. 속이 썩다 못해 폭발할 지경이다. 지난해 초 인천의 한 건보공단 지사에 갔더니 노인이 오전 내내 하소연하며 눈물을 글썽거렸다. 쓰러질 듯한 5000만원짜리 집 한 채에 사는 80대 할머니에게 6만원이 넘는 재산 건보료를 강요하는 것은 정의롭지 못하다. 이 정도면 집이, 아파트가 재산이 아니라 ‘웬수’에 가깝다.

 재산 건보료는 한국·일본에만 있다. 우리가 제도를 배워 온 일본이지만 우리와 사뭇 다르다. 재산 건보료 비중을 줄이고 있다. 국민건강보험(우리의 지역건보) 가입자 건보료의 10%(우리는 48%)밖에 안 된다. 서울대 김진현(간호학) 교수는 4일 토론회에서 “소득(flow)이 없는 상태에서 재산(stock)만 있는 경우 재산을 처분해 보험료를 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고 지적했다. 아파트를 살 때 돈을 빌렸으면 그만큼 빼고 건보료를 물리는 상식은 온데간데없다.

 내년 7월 박근혜 대통령의 핵심 공약인 기초연금이 시행되면 여기저기서 ‘아파트 불만’이 터져 나올 거다. 소득 하위 70%는 월 14만~20만원, 소득 상위 30%는 4만~10만원의 기초연금을 받는데, 어느 그룹에 속할지 따질 때 재산이 중요한 잣대가 된다. 아파트 공시가격에서 1억800만원(기본공제)을 뺀 금액의 5%를 연 소득으로 잡는다. 대도시에 4억원짜리 아파트 한 채가 있으면 연 1500만원(월 125만원) 소득을 올리는 것으로 환산한다(소득인정액 제도). 현금 소득이 없는데도 소득 상위 30%가 돼 기초연금이 적어진다. 중증장애인에게 지급하는 장애인연금도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기초수급자·한부모가족지원·임대주택 등 100여 가지 복지수당이나 서비스도 재산을 따진다. 기초연금보다 기준이 강하다. 재산에서 5400만원(기본공제)을 뺀 금액의 12.5%를 연 소득으로 잡는다. 노인돌봄종합서비스·장애아동재활치료 등 주거용 재산을 엄격히 따지지 않아도 될 것들도 상당히 많다.

 몇 년 전 호주 시드니의 센터링크(원스톱 복지센터)를 방문했을 때 일이다. 같이 출장 간 사회복지사들이 복지대상자를 선별하기 위한 소득·재산조사(민즈테스트) 방법을 물었다. 센터링크 간부는 “주거용 집 한 채는 면제다. 크든 작든, 싸든 비싸든 관계없다”고 했다. 30여 명 복지사들의 눈이 휘둥그레졌다. 본인이 사는 한 채의 아파트를 의식주(衣食住)의 필수 재화로 볼 수는 없을까. 호주처럼 주거용 집 한 채를 단번에 뺄 수는 없을 것이다. 급한 것부터 손을 대자. 0순위는 재산 건보료다. 일정액 이하의 재산부터 면제하거나 기본공제를 도입하거나 방법은 있다. 물론 지역가입자의 소득파악률(45%)을 높이려는 노력이 배가돼야 한다.

 기초연금을 비롯한 나머지는 재산 기준을 선별적으로 완화하면 된다. 독일처럼 복지를 먼저 제공하고 대상자가 사망하면 그 집을 팔아서 충당할 수도 있다. ‘박근혜 복지’를 확대하는 것도 좋지만 손톱 밑의 가시부터 뽑아야 체감도가 올라간다. 그러기 위해서 ‘내 집 한 채’를 다시 생각해 보자.

신성식 사회부문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