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러시아 FOCUS] 러시아 속 한국 영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6면

러시아의 ‘쉬리’ 포스터.

2012년 러시아 극장가에서 개봉된 한국 영화는 5편이고 그나마 2편은 애니메이션이다. 같은 기간 개봉된 이탈리아 영화가 6편, 중국 영화가 1편임을 감안하면 적지는 않다. 한국에서 1300만 관객몰이를 한 최동훈 감독의 ‘도둑들’ 같은 대작이라면 러시아에서 흥행이 되겠지만 상영권을 사들인 배급사는 뜸을 들이며 개봉 날짜를 늦추고 있다.

거기엔 이유가 있다. 러시아에 한국 영화가 첫선을 보인 지 13년이 지난 지금 관객에게 한국 영화는 잔인한 드라마, 섬뜩한 고문 장면이 담긴 호러, 한마디로 ‘익스트림 엑조티카’라는 고정관념이 들어 있다. ‘도둑들’이 이런 고정관념을 벗어나기 때문에 오히려 고정 관객의 외면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걱정하는 것이다.

이런 고정관념은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 2000년 러시아에 처음 개봉된 한국의 현대영화는 강제규 감독의 ‘쉬리’였다. 반응은 한마디로 실망 그 자체였다. 영화비평가들은 홍콩, 할리우드 액션 영화를 베꼈다고 혹평했고 일반 관객들은 영화 내내 한석규와 송강호를 헛갈려 했다. 이어 나온 이명세 감독의 ‘인정사정 볼 것 없다’도 홍콩·미국·일본 영화 따라하기에 불과하다는-완전한 오판이긴 했지만-당시 러시아 관객들의 인식을 재확인시켰다.

이런 인식은 박찬욱 감독의 ‘공동경비구역 JSA’로 바뀌는 계기를 마련했다. 섬세한 추리물인 이 영화는 독창적인 아이디어와 히치콕스러운 모티브로 충격을 줬다. 그때까지 러시아 관객과 평론가가 보아온 한국 영화와 전혀 달랐다. 한국에도 세계적 수준의 작가ㆍ감독이 있음을 깨달았다.

한국 영화가 잔인하고 유혈이 낭자한 괴상망측한 영화라는 명성에 박찬욱 감독의 ‘복수 3부작’과 ‘박쥐’가 한몫했지만 최대 공헌자는 김기덕 감독이다. 2001년 개봉된 그의 첫 작품 ‘섬’은 러시아 관객과 비평가를 충격과 경악으로 몰아넣었다. 영화에서 시, 사랑, 죽음에 대한 보편적 진리를 발견한 사람들은 김기덕을 오시마 나기사나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같은 세계 영화 거장들과 같은 레벨에 놓고 말하기 시작했다.

어쩌다 러시아에서 한국 영화 감독 하면 떠오르는 첫 번째 인물이 김기덕이 됐을까. 여기엔 러시아 영화 배급 시스템의 특성이 한몫한다. 배급사들은 대개 베를린 영화제나 칸 영화제 같은 대형 국제영화제의 수상작이나 관심작에 손을 먼저 내민다. ‘쉬리’ ‘인정사정 볼 것 없다’ ‘주유소 습격사건’, 그리고 장선우 감독의 ‘거짓말’ 같이 러시아 상영 패키지에 포함된 영화들도 2000년 유럽 영화제들에서 소개된 작품들이었다. ‘공동경비구역’ ‘섬’ 모두 베니스 영화제에서 러시아 배급사의 눈에 띄게 됐다.

그 후 10여 년이 지났지만 바뀐 것은 없다. 하지만 러시아는 문화적으로는 몰라도 적어도 지리적으로는 서유럽보다 한국에 더 가까운데도 러시아에서 열리는 영화제들에서조차 배급사와 바이어들은 전적으로 유럽의 평가를 기준으로 삼을 뿐 독자적인 시각으로 한국 영화를 보지는 못하고 있다(다행히도 블라디보스토크 아시아·태평양영화제는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한국 영화가 DVD로도 많이 출시되긴 하지만 영화 비평의 관심권 밖이고 방송사들도 방영권을 사들이는 경우가 드물어 한국 영화와 문화의 명성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한다. 영화관은 관객들이 다른 나라의 문화를 만나는 주된 장소다. 극장이나 특별영화제, 회고전 등에서 더 많은 한국 영화를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한국 영화는 뭔가 좀 괴기하고 극단적이라는 러시아 관객들의 편협한 인식에 변화가 오기를 바란다. 그런 의미에서 하루빨리 ‘도둑들’이 개봉되기를 기대해본다.

블라디미르 자하로프(영화평론가)

본 기사는 [러시스카야 가제타(Rossyskaya Gazeta), 러시아]가 제작·발간합니다. 중앙일보는 배포만 담당합니다. 따라서 이 기사의 내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러시스카야 가제타]에 있습니다


또한 Russia포커스 웹사이트(http://russiafocus.co.kr)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