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국제업무지구 향방 15일 결정

조인스랜드

입력

업데이트

[황정일기자]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의 주체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이하 드림허브)가 15일 긴급 이사회를 연다. 이날 용산 국제업무지구의 운명이 어느 정도 결정될 전망이다.

코레일과 민간 출자사에 따르면 드림허브는 15일 오후 3시 코레일 서울사옥에서 30개 출자사가 모여 긴급 회의를 열고 기로에 선 국제업무지구 사업을 논의한다. 드림허브 측은 “국제업무지구를 정상화할 수 있는 방안은 아직 남아 있다”며 “이날 이사회는 파국을 막기 위한 협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코레일은 긴급자금 지원을 약속하는 대신 국제업무지구를 공영개발로 전환하기 위한 약정 변경안 등을 상정할 계획이다. 앞서 민간 출자사에 요구한 것처럼 코레일이 2조6000억원을 출자 전환하고 민간 출자사가 1조4000억원을 조달해 자본금을 4억원 증자하는 형태다.

이 경우 코레일의 드림허브의 지분은 25%에서 50%를 넘게되므로 자연스레 공영개발로 전환된다. 앞서 코레일이 민간 출자사에 요구했던 시공권 포기 등 기득권 반납도 조건이 될 전망이다.

코레일 “긴급자금 지원하고 공영개발로 전환”

삼성물산의 랜드마크빌딩 시공권 등 민간 출자사가 소유한 2조원 규모의 시공권을 포기하라는 것이다. 코레일은 랜드마크빌딩 시공권을 가지고 새로운 민간 출자사를 모집한다는 계획이다.

코레일은 이렇게 공영개발로 전환하면 초고층 빌딩 층수를 낮추고 상업 분양 면적을 줄여 사업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 같은 회생안이 현실화할 지는 미지수다.

민간 출자사는 이미 유상증자안 등 코레일의 요구를 모두 수용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실적으로 1조4000억원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 한 민간 출자사는 “회사 상황 등을 고려할 때 1조4000억원의 유상증자가 가능한 곳은 삼성물산 정도”라고 말했다.

그러나 삼성물산은 “(유상증자에) 지분 만큼만 참여한다”는 입장이다. 드림허브는 13일 전날 돌아온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2000억원에 대한 이자 59억원을 막지 못해 디폴트를 선언했다.

디폴트라고 해서 바로 사업이 깨지는 것은 아니다. 이날 돌아온 이자를 막지 못했지만 원금 상환일인 6월 12일까지는 시간이 있다.

다만 드폴트에 빠지면서 드림허브가 지금까지 발행한 ABCP 등 총 2조4000억원에 대한 기한이익상실(만기일 전이라도 원금 상환)이 발생해 채권자들이 채권 회수에 나설 경우 6월 이전에 파산할 수도 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