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 사태' 풀리려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노무현 대통령당선자가 두산중공업 사태에 대해 회사 측의 성의를 촉구하자 표류하던 두산중공업 문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盧당선자는 지난 22일 민주당사를 방문한 자리에서 "현재 제일 민감한 부분은 노사문제인 것 같다"며 "노동자가 분신한 두산중공업의 경우 회사 측이 좀더 성의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두산중공업 노사는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이날 회의를 열고 회사 측의 입장을 정리했다. 숨진 배달호씨의 장례와 위로 문제 등을 조속히 해결하고, 이번 사태를 노사가 자율적으로 해결하도록 최선을 다한다는 것이다.

회사 고위 관계자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그동안 유족과의 대화가 미흡했던 것은 사실"이라며 "앞으로 유족들과 장례 및 위로 문제등에 대해 보다 적극성을 갖고 임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 측이 요구하고 있는 노조원 중징계 철회, 월급.재산 가압류 해제, 형사고발 조치 철회 등에 대해서는 원칙을 갖고 대응하기로 했다. 회사 측은 노조의 요구 중 월급.재산 가압류 문제는 노사 간 협의를 통해 전향적으로 검토키로 했다.

그러나 해고자 복직이나 임단협 완전 철회 등에 대해서는 "법과 질서를 지켜야 한다"며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편 참여연대.녹색연합 등 52개 시민.사회단체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원만한 노사관계를 위해 사용주들은 지난 5년간 제기한 손배.가압류를 모두 취소하고 정치권은 법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두산중공업 노조 관계자는 "분신사건 이후 교섭권을 금속노조에 위임했기 때문에 지금으로서는 협상을 지켜볼 수밖에 없지만 타협은 있을 수 없다는 분위기"라며 해고자 복직, 손배.가압류 해제 등에 대한 회사 측의 양보를 촉구했다.

이용택.김창우 기자

<두산중공업 사태 일지>

-2002년 5월 22일 파업 시작/47일간 파업

-2002년 7월 7일 시민중재단 중재로 직장점거 해제, 임단협 교섭 시작

-2002년 7월 이후 회사 측, 파업 주동자 18명 해고 등 89명 징계하고 22명 형사 고발. 65억원의 손해배상 위해 63명의 재산에 대해 가압류 신청

-2002년 12월 6일 노사합의/집단교섭 조항 삭제, 해고자 복직요구 철회, 개인 가압류건은 추후 노사협의

-2002년 12월 13일 1심에서 배달호씨 등 6명에게 실형 선고

-2002년 12월 말까지 가압류 해제 관련 노사협의 진행

-2003년 1월 9일 배달호씨 분신 사망

-2003년 1월 15~22일 세차례 노사협의(결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