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닉스 채권단 `조건 좋으면 조만간 마이크론과 MOU체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하이닉스반도체와 채권단은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3차협상에서 제시한 `통합방안'의 조건을 검토한 결과 수용할 수있는 내용이라고 판단되면 곧바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로 했다.

특히 최근 D램값 급등에 따라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독자생존론이나 단순한 제휴방안은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하이닉스 구조특위 관계자는 9일 "스티브 애플턴 사장을 주축으로 한 마이크론협상팀은 이번협상에서 하이닉스 D램사업부문 통합을 기본축으로 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고있다"면서 "구체적인 협상내용을 공개할 수없지만 하이닉스와 채권단은 이 안에 대한 검토작업에 우선 착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애플턴 사장의 개인일정 등을 감안, 이번 협상에서는 MOU 체결을 위한 원칙적인 합의를 도출한 뒤 양사 재정자문사(살로먼스미스바니.골드만삭스)가 참여하는 실무협상을 거쳐 정식 MOU를 체결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이번주 후반 귀국하는 애플턴사장의 일정상 금주중 MOU체결 원칙이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채권단 관계자는 "마이크론의 제안조건의 내용이 좋으면 MOU를 체결한 뒤 본계약 협상에 착수할 것"이라면서 "그러나 조건이 너무 기대치에 밑돌면 `헐값매각'시비나 국익을 고려해 신중한 자세를 견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일부에서 독자생존론 등을 거론하고 있으나 현 시점에서 어떤 길이 하이닉스와 국가경제에 이로운가를 냉철하게 생각해야 한다"면서 "채권단은 마이크론과의 협상을 원만히 매듭짓겠다는 당초 방침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반도체 분야 전문가들은 마이크론의 `통합방안'에 대해 이닉스의 D램사업을 분리, 별도의 신설법인을 설립하고 매각대금으로 마이크론의 주식을 지급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 D램사업을 분리하고 남은 하이닉스 비 D램 사업부문에는 마이크론측이 19.9%의 지분투자를 하게되며, 하이닉스도 별도로 제3자로부터의 투자를 추진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연합뉴스) 이우탁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