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盧정부와 관계 어떻게] 역대 정권에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시민단체와 정부가 협조하게 된 것은 김영삼(金泳三) 정부 초기부터다. 김영삼 정부는 출범 초 당시 경실련 등의 주장을 받아들여 금융실명제.부동산투기 근절 등 강한 개혁 드라이브를 걸었다. 정권 중반 이각범(李珏範).박세일(朴世逸)씨 등 경실련 주요 멤버들을 청와대로 불렀다.

그러나 3당 합당의 토대 위에 출범한 문민정부는 시민단체들로부터 비판과 견제도 많이 받았다. 특히 정권 말기 개혁성이 바래고 대통령 아들 비리와 국제통화기금(IMF)사태 후엔 시민단체들과 아예 결별단계로 들어섰다.

98년 출범한 김대중(金大中) 정부는 시민단체들을 개혁의 파트너로 삼고 우호적 관계를 맺으려 애썼다. 김태동.김성재씨 등 시민단체 출신 전문가들을 청와대 및 내각, 정부 산하 각종 위원회에 대거 참여시켰다. 또 기존 관변단체만 주던 정부보조금을 1백50억원으로 늘려 시민단체들에도 지원했다.

시민단체들은 정부의 개혁작업에 동참하면서도 정치적으론 등거리를 유지하려 애썼다. 참여연대는 출범 초기부터 청와대에 보내는 '개혁통신'을 통해 김홍업씨 등을 거론하며 권력형 부정비리와 측근 단속을 경고했다.

시민단체의 정치참여가 본격적 논란이 된 것은 2000년 총선연대의 낙천.낙선운동이 전개되면서부터다. 당시 한나라당.자민련.소설가 이문열씨 등이 총선연대를 김대중 정권의 '홍위병'이라고 공격했다.

문경란 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