쉿, 중소병원 응급의학 전문의 비밀리에 모여 나눈 얘기는...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중소병원 응급의학 전문의의 열악한 현실과 개선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비공개로 진행 된 이번 논의가 중소병원 응급의학 전문의의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움직임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5일 열린 제1회 대한응급의학회 취업박람회에서는 응급의학과 봉직의의 현실과 문제점을 비롯해 병원 내 적정근로인력과 근무강도, 근무스케쥴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이번 취업박람회는 응급의학회 내 중소병원협의회가 주최한만큼 지방 중소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의 열악한 근무환경을 토로하는 자리가 됐다. 아울러 적정근무를 위한 표준 근로기준이 무엇인지의 이슈가 주요 주제 중 하나인 것으로 알려졌다.

응급의학회 중소병원협의회 이기중 회장(청주성모병원)은 “이번 모임은 대학병원과 열악한 여건에 놓여있는 의사들의 모임”이라며 “인턴도 없이 혼자 근무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응급의학 전문의들이 모여 표준화된 근무지침을 주제로 중지를 모으는 자리”라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지방 중소병원과 수도권 대학병원의 실제 임금을 비교하는 내용 등이 있어 논란이 될수 있다는 판단아래 세부 내용은 비공개로 결정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자리는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의 첫 논의인만큼 가시적인 성과가 당장 나오는 것은 아니다 .다만 박람회를 발판으로 중소병원협의회와 병원협회 등의 다른 단체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정부에 정책방향을 제시하겠다는 밑그림은 그려졌다.

이기중 회장은 “일단은 우리가 처한 상황과 여건을 허심탄회하게 토로하고 논의를 시작하는 자리라는 데 의의를 둔다”며 “앞으로 발전이 된다면 응급의학 전문의의 간접적 아웃소싱을 주관하는 형태의 응급의학회 중소병원협의회로도 방향을 잡아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박람회에서는 응급의학과 봉직의 현실과 문제점, 응급의학과와 병원경영, 응급의학과 세팅, 응급의학과 개업, 응급의학과 전문의의 정의와 역할, 적정근로인력과 근무강도•근무스케쥴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인기기사]

·피곤해서 생긴 입술 물집인 줄 알았더니···바이러스 감염 [2013/02/05] 
·동아제약, 수난 끝은 언제? [2013/02/05] 
·경찰, 의약품 리베이트 수사 보건소로 확대되나? [2013/02/05] 
·극심한 입덧은 임신합병증 적신호일 수도 [2013/02/05] 
·20-30대 여성도 건강검진 대상 포함시켜야 [2013/02/05]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