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주택지 폐가 헐어 주차장·쉼터·텃밭 조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7면

대구 중·남·서구 등지에는 단독주택이 많다. 1970∼80년대만 하더라도 고급 주택 지역으로 인기가 있었지만 90년대 이후 시들해졌다. 주거 환경이 좋지 않아서다. 낡은 집에 주차공간도 제대로 없어 세입자도 입주를 꺼리는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빈집이 늘어 폐허처럼 변하고 있다. 폐가에는 쓰레기가 널려 있고 여름철이면 파리와 모기가 들끓어 주민들의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대구시가 이런 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에 나선다. 시는 일반주거지역 내 단독주택 지역의 폐가(廢家) 50채를 철거한 뒤 그 자리에 텃밭이나 주차장, 주민 쉼터를 조성하는 ‘도심 폐가 활용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30일 밝혔다. 대상은 재개발·재건축 예정지역 밖에 있는 단독주택 가운데 사람이 살지 않고 방치한 집이다. 주택 소유자의 동의를 얻어 집을 철거하고 주민 편의시설을 설치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주차장이 없는 지역에는 미니 주차장을, 체육시설과 멀리 떨어진 곳에는 벤치와 운동시설을 갖춘 쉼터를 설치한다. 165㎡(약 50평)짜리 집터에는 승용차 10대 정도를 댈 수 있다. 인근 주민이 원할 경우 텃밭으로도 꾸며 고추·상추·배추 등 채소류를 기를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주택 철거와 시설 설치 비용은 대구시가 부담한다. 시는 주택 소유자로부터 최소 3년간 무상 사용 동의를 얻은 뒤 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집 소유자에겐 해당 기간 재산세를 감면한다. 시는 구·군청의 현장조사와 주택 소유자의 동의 절차가 끝나는 5∼6월 집을 뜯어내고 관련 시설을 설치할 예정이다.

 시가 폐가를 활용하려는 것은 단독주택 지역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다. 방치된 집에는 쓰레기가 쌓이고 청소년들이 드나들면서 담배도 피워 주민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대구시 박영홍 도시재생과장은 “단독주택 지역의 주거 여건이 좋지 않지만 개발계획이 없는 곳이 많다”며 “이런 지역의 폐가 터를 활용하면 지역 주민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주민 반응이 좋으면 하반기에 사업 대상을 더 늘릴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주민 반응도 긍정적이다. 부동산 경기침체로 개발 가능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마을 정비는 꼭 필요한 사업이라는 것이다. 남구 봉덕동의 김정식(67)씨는 “폐가가 사라지기만 해도 동네 분위기가 바뀔 것”이라며 반겼다.

 수성구청은 ‘부설주차장 개방 사업’에 나선다. 주택가에 위치한 학교·종교시설·대형건물 등의 신청을 받아 주차장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 동안 인근 주민들에게 무료로 개방하는 사업이다. 차량이 증가하면서 주택가의 주차난도 갈수록 심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구청 측은 이 사업에 참가하는 사업자에겐 시설 개선비 명목으로 한 곳당 최고 2000만원까지 지원할 방침이다.

 이진훈 구청장은 “단독주택 지역 주민의 가장 큰 고민이 주차난”이라며 “주차장 개방 기관을 늘려 주민들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홍권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