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체계 구축 이슈, 인수위에 발빠른 전달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응급진료가 가능한 곳을 찾아 이 병원 저 병원 떠돌 수 밖에 없는 ‘응급난만’을 구제하기 위한 응급의료 선진화 축구 건의문이 결의됐다.

응급의학회를 비롯한 유관단체 8곳은 14일, 응급의료체계와 인력 확보 등 7대 과제를 담은 ‘응급의료 선진화 촉구를 위한 건의문’을 채택, 발표했다. 이 결의문은 15일 보건복지부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대통령 인수위원회에 전달된다.

건의문에서는 “많은 응급환자가 적절히 치료받을 응급실로 후송되지 못하고 여러 병원을 떠도는 응급 난민이 되고 있다”며 “응급실에 대한 시설과 장비투자가 부족하고 근무여건이 열악해 의료인들이 응급의료를 기피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처럼 낙후된 응급의료시스템을 선진화시키기 위해 정부와 입법부, 의료계가 나서야 한다는 것. 성명서에서는 7가지의 주요과제를 선정했다.

먼저 적정진료를 위해 중환자와 경미한 응급환자가 뒤섞여 응급처치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현재의 상황을 타파하고 중증도에 따른 적합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응급의료체계를 수립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 사회안전망 차원에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필요한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해 투자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점도 강조됐다.

인력 투자 문제도 제기됐다. 응급환자를 이송하고 돌보며 치료하는 응급의료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의료사고의 빌미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의료재원의 효율적인 집행과 응급의료 계획수립, 전반적인 수행 평가 등을 아우르는 국가 응급의료 관리체계를 만들고 발전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와함꼐 응급환자 이송체계를 개선해야 하는 점도 주요 과제로 올라왔다. 현장에서 의료기관으로, 또는 병원 간 환자를 이동시킬 때 적절한 병원을 선정하고 환자를 보내는 병원과 받아 줄 병원 간의 연락체계 같은 이송체계가 개선돼야 길거리를 헤매다 생명을 잃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대형 재난에 대응하기위한 재난대비체계를 정비해야 하는 부분도 과제로 꼽혔다.

마지막으로 응급의료 현장에서 발생하는 응급의료 종사자에 대한 폭언과 폭행 등 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법률의 개정과 처벌강화도 7대 과제로 선정됐다.

이번 건의문에는 대한응급의학회, 대한외상학회, 대한재난응급의료협회, 대한심장학회, 병원응급간호사회, 한국응급구조학회, 한국항공응급의료학회, 대한소아응급연구회 총 8개 단체가 참여했다.

[인기기사]

·가루약 조제파문 환자단체 뿔났다 [2013/01/14] 
·지주사 전환에 동아제약 속 탄다 [2013/01/14] 
·대웅제약, 차세대 백혈병약 슈펙트 알리기 열심 [2013/01/14] 
·"태반주사 효능 과대광고 한 의사 면허정지 정당" [2013/01/14] 
·“계란을 투척할 때만 해도 내가 의협 회장이 될 거라곤 상상도 못했다” [2013/01/14]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