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신용금고 소액신용대출 1조원 돌파

중앙일보

입력

상호신용금고가 신용이 다소 약한 고객에게 1백만~5백만원씩 빌려주는 소액 신용대출이 1조원을 넘어섰다.

신용금고들은 은행에서 신용대출을 받기 어려운 고객들에게 연 24%에서 최고 60%까지의 이자를 받으며 돈을 빌려주고 있다.

초저금리 상황에서 자금을 굴리기가 어려워지자 은행에서 외면당하는 고객을 공략하는 것이다. 하지만 원리금을 제때 갚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신용금고 업계의 부실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신용금고의 무보증 신용대출은 총 1조6백79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 말(2천7백69억원)에 비해서는 네배 가까이, 6월 말(4천8백6억원)에 비해서도 두배 넘게 증가했다.

올 상반기만 해도 서울에 있는 현대스위스금고와 푸른금고 등 대형 금고를 중심으로 시작된 소액 신용대출이 최근 지방금고까지 확산됐다.

소액 신용대출이 1백억원 이상인 금고는 3월 말 7개에서 9월 말 22개로 늘어났다. 지난 6월부터 소액 신용대출을 취급한 현대스위스금고의 경우 대출실적이 1천억원을 넘어섰다. 이 금고는 특히 신용카드 결제 기간을 늘려주는 방식으로 카드 이용자의 호응을 받았다.

신용금고들은 은행에서 신용대출을 받을 수 없는 계층을 상대로 소액 신용대출을 하고 있다. 그래도 신용불량 기록이 있는 사람에게는 대출해주지 않는다. 신용금고들은 서류를 간소화해 한두가지만 내면 이를 확인해 몇시간 안에 대출 여부를 결정한다. 팩스나 전화, 인터넷으로 신청해도 가능하다.

이같은 금고업계의 소액 신용대출은 은행보다 연체율이 높다. 금고업계는 관리 연체율을 20%선으로 잡고 있다.

20% 이내로 관리할 수 있으면 대출 금리가 높기 때문에 충분히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계산이다. 금고업계에선 연체율을 비밀에 부치고 있는데 연체율이 40%에 이르는 곳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금고 관계자는 "수신 대비 여신 비율이 80%는 돼야 수지를 맞출 수 있는데 최근 그 비율이 70%대로 낮아졌다"면서 "위험 부담이야 있지만 마땅히 자금을 굴릴 곳을 찾기 어려운 판에 나름대로 틈새 영업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차진용.정선구 기자 chaj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