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주택건설업체 30% “2013년 분양 계획 없다 ”

조인스랜드

입력

업데이트

[황정일기자] 내년 신규 아파트분양 물량이 크게 줄 것 같다. 대형 주택건설업체 30% 정도가 내년에 신규 분양을 하지 않겠다고 했다. 경기 침체 영향 등으로 사업을 해봐야 손해를 볼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한국주택협회가 72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3년 주택공급 계획’에 따르면 32개사가 전국 121개 사업장에서 12만2329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올해 계획했던 17만4582가구보다 약 30% 감소한 것으로 2002년 이후 최저치다.

부동산 시장 침체 여파로 재개발·재건축으로 공급되는 분양 물량이 크게 준 영향이다. 여기에 건설사가 잇따라 문을 닫거나 법정관리·워크아웃에 들어 가면서 사업 의지가 꺾인 탓이다.

특히 37개사는 아예 2013년 주택공급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중견업체 관계자는 “내년에는 리스크가 큰 자체사업을 통한 신규 분양은 하지 않고 미분양 판매 위주로 사업전략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지방 분양 물량도 급감

내년 주택공급 물량 중 수도권 물량은 총 7만8178가구로 올해 10만6383가구보다 약 26.5% 줄었다. 올해 신규 분양시장이 괜찮았던 지방에서도 올해보다 35.3% 줄어든 4만4151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올해 대량의 분양 물량이 공급됐던 부산과 광주, 충남 지역 등의 공급물량이 크게 준 영향이다. 대신 공기업 이전이 점차 가시화되는 대구·경북·충북 등 혁신도시 위주로 공급될 예정이다.

사업 유형별로는 택지지구 등에서 분양되는 분양 아파트와 재개발·재건축 부문의 감소세가 컸다. 분양 아파트는 내년 총 5만1846가구로 올해의 50% 수준으로 준다. 재개발·재건축 아파트 역시 올해(7만1107가구)보다 38.5% 준 4만3764구가 공급된다.

반면 전세난 여파로 민간에서 공급되는 임대주택는 늘어난다. 올해에는 경우 540가구가 공급됐으나 내년에는 1096가구로 올해보다 103% 늘어났다.

주택시장 침체로 주택업계는 민간 주택시장을 위축시킨 보금자리주택 정책의 전환, 국회에 계류돼 있는 분양가상한제 및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 등의 대책 실행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박수헌 주택협회 팀장은 “지금은 주택경기 침체로 공급물량 감소에 따른 가시적 효과가 바로 나타나지 않지만 3~4년 후에는 주택가격 상승이나 전세금 상승 등의 부메랑으로 돌아와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