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공무원 성희롱 많은 장소, 사무실 아닌 이 곳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공공기관 내 여성 성희롱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여성가족부(장관 김금래)는 26일 '2012년 공공기관 성희롱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뉴스1이 보도했다. 조사는 지난 9월부터 10월까지 공공기관 직원 7957명(일반직원 2015명·성희롱 업무담당자 5942명)을 대상으로 성희롱에 대한 인식과 경험, 사건 처리방식과 성희롱 예방교육 등 현황에 대해 방문, 전화면접, 전자우편 등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1년 동안 타인의 성희롱 피해를 목격하거나 들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일반 직원의 비율은 7.4%, 본인이 성희롱 피해를 입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3.8%였다.

특히 남성에 비해 여성이, 정규직에 비해 비정규직이, 19~29세의 연령집단이 성희롱에 더 많이 노출돼 있으며, 사건 해결에 있어서도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료들이 성희롱 피해를 경험한 적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여성의 12%, 19~29세 연령 집단의 12.8%가 각각 '있다'고 답했다. 또 정규직(6.3%)의 두 배가 넘는 비정규직의 13%가 동료의 성희롱 피해를 목격하거나 들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희롱 피해 발생 기관 형태별로는 국가기관이 11.6%로 가장 높았고, 공직유관기관(7.3%), 지방자치단체(7.0%), 대학(7.0%), 초중고등학교(4.2%) 순으로 높았다. 특히 학교의 경우 '교수(또는 강사)와 학생'간 발생하는 성희롱 비중이 높았다.

성희롱 사건 발생 장소, 관계, 형태별로 살펴보면 주로 회식장소에서, 상급자가, 언어적 혹은 신체적 성희롱을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의 경험상 성희롱 발생장소는 회식장소 63.2%, 사무실 안 42.1%, 야유회 등 행사 14.5%, 출장 6.6% 순으로 조사됐다. 가해자의 직책별로는 고위관직이 26.1%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성희롱 피해 대처방법으로 피해자의 90% 이상이 '그냥 참고 넘어갔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업무 및 인사고과상의 불이익에 대한 우려(29.9%)', '해결 가능성이 없다(27.5%)', '소문, 평판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17.4%)', '큰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아서(14.5%)',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없거나 몰라서(7.2%)'로 나타났다.

한편 공공기관 내 성희롱 사건 처리를 위한 별도의 업무 매뉴얼을 가지고 있는 기관은 전체의 65.7%이지만, 초중고를 제외하면 약 45.7%의 기관만이 매뉴얼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공기관 내 성희롱 관련 전담기구와 전임상담원이 모두 있는 기관은 전체의 86.5%, 자체규정을 가지고 있는 기관은 84.7%다. 전임상담원 수는 전체 기관에서 평균 2명으로 조사됐으며, 공공기관의 60.2%에는 상담실이 설치돼 있고 전임상담원이 전혀 없는 기관은 29.4%였다.

여성가족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공공기관 성희롱 방지조치의 실효성을 높이고 사건 발생 시 피해자 관점에서 전문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여성가족부 강월구 권익증진국장은 "성희롱 관련한 현행 법령들은 성희롱의 개념을 '고용관계'에 한정하고 있어 학생화 학생 간 성희롱, 가해자가 학생이거나 외부인일 경우를 포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며 "향후 이러한 법적 개선을 비롯해 성희롱, 성폭력 등 모든 여성 폭력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사회 전반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예방교육을 세심하게 실시하겠다"고 전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