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성 치매, 사전진단 열쇠 찾았다

중앙일보

입력

의학자들은 건강한 노인들의 뇌검사를 통해 알츠하이머병(노인성 치매)의 사전 징후로 알려진 가벼운 인식장애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찾았다고 밝혔다.

뉴욕대학 메디칼센터 뇌건강센터에서 일하는 모니 디 레온 박사는 "이번 연구는 정상적인 사람의 뇌에서 기억력 감퇴를 예고해 주는 변화가 일어나는지의 여부를 보여주는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이 변화란 바로 뇌 속의 조그만 기억장소에서 발생하는 포도당 신진대사의 감소를 말한다. 포도당은 뇌활동의 에너지원으로 알려져 있다.

영상진단으로 얻은 결과를 통해 정상인 중에서 기억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사람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기억력장애가 알츠하이머병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지는 알 수 없다."고 레온박사가 말했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노인들의 평균연령은 72세로 모두 48명이었다. 지난 3년간의 연구과정을 동안 기억력 감퇴를 경험한 환자는 13명이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의 유명한 학술지 PNAS(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지에 발표되었다.

여러 의학자들은 이번 발견이 궁극적으로 조기 진단법을 얻을 수 있는 수수께끼의 일부를 찾아낸 것이라고 말했다. 의학자들은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이 해마상 융기라고 불리는 부분의 뇌가 축소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뇌속에서 일어나는 그 밖의 변화도 알아내기 위해 다양한 영상진단법을 사용하고 있다.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의 마릴린 알버트 박사는 "해마상 융기의 축소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중입니다. 10년 안에 축소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이 개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또 "이번 발표는 영상진단법을 테스트에 이용할 수 있음을 알려주고 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의학자들은 이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뇌 뿐만 아니라 다른 인체 기관들의 노화과정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건강한 국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매우 중요합니다,"라고 레온 박사는 강조했다.

(CNN)

◇ 원문보기 / 이 페이지와 관련한 문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