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차 매각, 이달중 MOU체결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대우자동차 매각협상이 급류를 타고 있다.

진념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이 지난 4일 기자간담회에서 대우자동차 처리문제가 거의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고 밝힌데 이어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도 8일 기자들과 만나 대우자동차 매각작업을 이달내에 마무리짓도록 하겠다고 밝혀 협상이 막바지에 이르렀음을 시사했다.

대우차 매각협상에 참여하고 있는 고위 관계자는 9일 "다소 구체적이지는 않더라도 이르면 이달중 양해각서(MOU)를 맺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매각협상이 지지부진했던 것은 우리측 내부 입장정리가 덜 돼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우차를 팔기 위해서는 대우차의 지분관계 및 정리채권, 해외사업장 등대우차와 관련된 쟁점을 '매물' 차원에서 정리해야 했지만 이 작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그간 협상에 큰 진전이 없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수차례 협상과정을 통해 우리측이 내부입장을 정리하고 있는 만큼앞으로 협상이 급속도로 진전될 것"이라고 낙관했다.

이 관계자는 또 매각가격에 대해서는 "대우차의 자산과 영업권이 매각대상이며매각대금조로 현금이 들어오더라도 채권정리, 신규투자 등에 소요되므로 사실상 채권단이 수중에 쥐는 현금은 없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로서는 대우차를 청산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어떤 형태로든 자동차 산업의 육성과 발전을 위해 대우차가 존속해야 하고 그런 면에서 매각은 성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매각대상에 부평공장을 포함시킬지 여부는 아직 정부가 고민중인 것으로안다고 채권단의 한 관계자가 전했다.

이근영 금감위원장은 이와 관련해 8일 "대우차 매각협상이 순조롭게 진행되고있으며 국민정서에 맞게 매각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혀 부평공장이 매각대상에 포함될 것임을 내비쳤으나 금감위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해명했다.

협상을 이끌고 있는 산업은행은 최근 그동안의 협상결과를 정부에 종합보고했으며 정부는 부평공장 포함여부와 세금문제 등 정부가 판단해야 할 사항들을 적극적으로 챙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단 관계자는 "경제외적인 논리에 근거해 매각대상에 부평공장을 포함시킬경우 매각가격은 크게 떨어져 헐값매각 시비를 피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부평공장을 포함해 일괄매각할지 여부에 대해 아직 최종단안을 내리지는않은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역정서 등을 감안해 부평공장을 매각대상에 포함시킨다는 종전입장을고수하고 있지만 부평공장 때문에 전체 협상을 깨기도 힘든 상황인 것으로 협상 관측통들은 보고 있다.

대우차 처리가 구조조정의 정점에 서 있기 때문에 침체경기의 조기회복을 위해서도 대우차매각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는 시장 전문가들이 많다.

이런 상황에서 부평공장이 매각대상에서 제외될 경우에 대비한 회생방안에 대한검토도 다각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부평공장을 별도 법인화해 이 곳에서 생산되는 승용차를 GM 위탁판매를 통해 회생을 모색한 뒤 몇년 뒤 경영상태가 좋아지면 인수하는 식으로 절충할 가능성도 없지 않은 것으로 대우차 주변에서는 점치고 있다.

정부는 이달중 부평공장 처리방식을 확정한 후 GM과의 MOU체결과 함께 대국민설득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서울=연합뉴스) 양태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