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00명 중 14명은 아인슈타인·모차르트 될 인재?

    100명 중 14명은 아인슈타인·모차르트 될 인재?

    모차르트 가족의 유럽 여행: 아버지, 누나와 함께(루이 카로지. 1763) [위키피디아] 2005년 8월 서울에서 아인슈타인의 뇌가 학업성적표, 연애편지, 1905년에 발표된 특수

    온라인 중앙일보

    2013.07.21 09:34

  • 100명 중 14명은 아인슈타인·모차르트 될 인재?

    100명 중 14명은 아인슈타인·모차르트 될 인재?

    모차르트 가족의 유럽 여행: 아버지, 누나와 함께(루이 카로지. 1763) [위키피디아] 2005년 8월 서울에서 아인슈타인의 뇌가 학업성적표, 연애편지, 1905년에 발표된 특

    중앙선데이

    2013.07.21 01:26

  • [책꽂이] 교육론 外

    [책꽂이] 교육론 外

    인문·사회 ◆교육론(존 로크 지음, 박혜원 옮김, 비봉, 358쪽, 1만7000원)=존 로크의 교육론 완역본. 존 로크가 자신의 가정 교수 경험을 토대로 자녀들의 가정 교육에 대하

    중앙일보

    2011.10.01 00:06

  • 탄소 아닌 정보로 사는 생명체 관객은 관찰자 아닌 참여자

    탄소 아닌 정보로 사는 생명체 관객은 관찰자 아닌 참여자

    일본의 전화회사 NTT가 100주년 기념으로 설립한 ICC(Inter Communication Center)는 기술과 예술 간의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예술을 창출하는 야심찬 프

    중앙선데이

    2011.05.08 02:37

  • [BOOK] 날씨, 건강, 경제 예측이 점성술서 시작됐다는데 …

    [BOOK] 날씨, 건강, 경제 예측이 점성술서 시작됐다는데 …

    거의 모든 것의 미래 데이비드 오렐 지음 이한음 옮김 리더스북 540쪽, 2만5000원 제목과 달리 예측의 미래를 예상한 책이다.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던 석기시대 때부터 미

    중앙일보

    2010.11.27 00:17

  • [김환영 시시각각] 환원주의의 희생자들

    [김환영 시시각각] 환원주의의 희생자들

    김환영중앙SUNDAY 지식팀장 환원주의(還元主義)는 “다양한 현상을 기본적인 하나의 원리나 요인으로 설명하려는 경향”이다. 환원주의는 결정론과 함께 과학의 양대 패러다임이라고 할

    중앙일보

    2010.11.16 00:05

  • [j Story] 한국을 이끄는 24명 무슨 책을 읽고 있나

    [j Story] 한국을 이끄는 24명 무슨 책을 읽고 있나

    협찬: 교보문고 지금은 유명하게 된 교보문고의 지난달 벽보 문구는 이랬습니다. ‘지금 네 곁에 있는 사람, 네가 자주 가는 곳, 네가 읽는 책들이 너를 말해준다’. 괴테가 한 말

    중앙일보

    2010.11.13 00:21

  • [BOOK] 유전자 없어도 유전되는 문화, 모방의 힘

    [BOOK] 유전자 없어도 유전되는 문화, 모방의 힘

    밈 수전 블랙모어 지음 김명남 옮김  바다 출판사, 462쪽 1만5000원 인간의 사고나 행동의 상당 부분이 유전자의 ‘배후 조종’에 따른 것이라는 진화생물학자 도킨스의 주장은 과

    중앙일보

    2010.10.02 00:31

  • [BOOK책갈피] 선과 악, 인간의 참모습은 무엇일까

    [BOOK책갈피] 선과 악, 인간의 참모습은 무엇일까

    인간의 본성(들) 폴 에얼릭 지음, 전방욱 옮김, 이마고, 544쪽, 1만8500원 이 책은 궁극적인 의문으로 시작한다. 인간은 왜, 어떻게 지금 같은 형태로 진화한 것일까. 물음

    중앙일보

    2008.04.05 00:56

  • [특별기고] ‘不倫 열광’의 진화심리학

    남녀 불문, 왜 사람들은 불륜을 가슴 설레는 로맨스라고 말하나? 불륜을 ‘번식 본능’만으로 설명 가능한가? 같은 불륜도 남자와 여자가 달리 해석되는 이유는? 진화심리학으로 그 궁

    중앙일보

    2007.10.26 13:42

  • 철학·문학·영화, 경계를 가로지르는 저술가

    철학·문학·영화, 경계를 가로지르는 저술가

    1. ‘방송사고’로 맺은 인연한 2년 전에, 팔자에도 없이 매주 방송국을 들락날락한 적이 있다. 8개월 동안 텔레비전의 책 소개 프로 진행자를 맡았던 것인데, 그때나 지금이나 나

    중앙선데이

    2007.09.02 04:23

  • [BOOK책갈피] “남의 배우자는 검증된 이성” 더 매력 느껴

    [BOOK책갈피] “남의 배우자는 검증된 이성” 더 매력 느껴

    욕망의 진화 원제 The Evolution of Desire 데이비드 버스 지음, 전중환 옮김 사이언스북스, 592쪽, 2만원   1994년 출간되어 진화심리학이란 신생 학문을

    중앙일보

    2007.08.24 18:44

  • [행복한책읽기Review] 차라리 종교가 없었다면 …

    [행복한책읽기Review] 차라리 종교가 없었다면 …

      흔히 다신교에서 일신교로 이동하는 변화를 진보라 일컫는다. 역사적으로 봐도 틀리다 하기 어렵다. 그리스·로마의 올림포스 신들보다 오늘날 야훼나 예수, 알라 같은 유일신들이 좀더

    중앙일보

    2007.07.27 18:36

  • [즐겨읽기] ‘행복의 열쇠’ 찾기… 문학·생물학 머리 맞댔다

    [즐겨읽기] ‘행복의 열쇠’ 찾기… 문학·생물학 머리 맞댔다

    대담 도정일·최재천 지음, 휴머니스트, 616쪽, 2만5000원 무엇보다 반갑다. 자기 갈 길 바쁜 학자 둘이 한자리에 모여 가슴을 열고 얘기했다. 최종 목적은 행복한 삶이다. 그

    중앙일보

    2005.11.18 21:42

  • [새책] 인문·사회 外

    [새책] 인문·사회 外

    인문·사회 ◆미국 외교정책의 대반격(리처드 하스 지음, 장성민 옮김, 김영사, 253쪽, 1만3900원)=초강대국 미국의 한계와 가능성을 점검한 외교 지침서. 국제적 합의를 바탕

    중앙일보

    2005.11.18 21:31

  • [행복한 책읽기] 생물학은 21세기 지적모험의 1번지

    [행복한 책읽기] 생물학은 21세기 지적모험의 1번지

    리처드 도킨스는 생물학계의 맹장이다. 지식대중 사이에 도킨스 책 한 두 권을 접해보지 않은 이는 거의 없다. 그중 유명한 책이 '이기적 유전자'. 내용은 경악할 만한 수준이다.

    중앙일보

    2005.11.11 21:07

  • [행복한 책읽기] 이 세상과 나에게 질문을 던지다

    [행복한 책읽기] 이 세상과 나에게 질문을 던지다

    '과학을 과일처럼-' 맛나게 섭취하고 몸에 이로울 수는 없을까. 올해는 유엔이 정한 '물리의 해'이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발표된 지 100주년을 기념한 것이다. 거기다 4월

    중앙일보

    2005.04.22 22:34

  • [내 생각은…] 신약개발 황금기가 오고 있다

    1953년 왓슨과 크릭에 의해 DNA의 구조가 밝혀진 이래 지난 50년간의 생명과학은 유전자 연구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이로 인해 많은 생명 현상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됐으

    중앙일보

    2004.11.01 18:33

  • [행복한 책읽기] DNA가 마음까지 복제한다구?

    "명료하고 깊이가 있으며, 교양적이다."(워싱턴 포스트), "박학다식하며 논의에 빈틈이 없다. 읽는 재미도 있다."(타임) 호들갑스럽기까지 한 미국 쪽 서평들의 일부인데, 책을 훑

    중앙일보

    2004.02.27 17:29

  • [인문/지성] '동물에게도 문화가 있다'

    동물에게도 문화가 있다/리 듀거킨 지음, 이한음 옮김/지호, 1만3천원 일본의 마카쿠 원숭이에 얽힌 이야기다. 오래 전 '이모'라는 마카쿠 원숭이는 사람들이 던져 준 고구마를 개울

    중앙일보

    2003.07.04 17:36

  • [DNA발견 50주년] 3. '인류의 뿌리' DNA로 추적중

    [DNA발견 50주년] 3. '인류의 뿌리' DNA로 추적중

    1998년 자신이 프랑스 명배우 이브 몽탕의 친딸이라고 주장하는 여자가 나타난 적이 있다. 결국 이브 몽탕의 시신 발굴을 통해 DNA검사가 시행됐고 결과는 생물학적 연관성이 없다

    중앙일보

    2003.04.16 15:59

  • 생명은 '우연'에 의해 진화했나

    과거 생물학은 물리학이나 화학에 비추어 학문적으로 주변적 위치를 차지해 왔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 생명공학의 비약적 발달로 이제 생명과학은 기업계·정계 및 학계에서 가장 관심을

    중앙일보

    2002.11.02 00:00

  • '사회생물학'에 대한 오해

    엄청난 논란을 불러일으킨 그의 저서 『사회생물학』(1975)에서 하버드 대학의 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은 사회생물학을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의 사회행동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

    중앙일보

    2002.06.01 00:00

  • 사회생물학에대한오해

    →41면'사회생물학'에서 계속 이런 점에서 볼 때 예를 들어 페미니스트들과 잘못 꿴 첫 단추는 여간 서운한 게 아니었다. 가장 굳게 손을 잡았어도 시원치 않았을 두 분야가 그 동안

    중앙일보

    2002.06.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