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수재의 원인을 생각하자

    지난 1일부터 서울·중부지방에 내린 집중호우로 1백20여명의 인명피해가 나고 16만명의 이재민을 내는 등 수백억원의 재산피해를 본 것은 우리의 국토가 천재지변에 얼마나 허약한 것인

    중앙일보

    1984.09.03 00:00

  • 또 한번 아픈 교훈

    이번 동남점보페리호 조난사고는 평소 우리 주변의 안전관리가 어느 정도이며, 위기에 직면해 그에 대처하는 능력이 어느 정도인가를 시험하는 상징적 사건 같다. 대형사고가 날 때마다 안

    중앙일보

    1984.04.20 00:00

  • 거센 폭풍속에 항해 강행

    동남점보페리호 조난사고는 폭풍주의보속에 안전수칙을 무시한 무리한 항해, 점검소홀 및 정비물량, 선장의 판단착오 등으로 빚어진 원시적 사고였다. 더우기 구명정으로 옮겨타지만 않았어도

    중앙일보

    1984.04.19 00:00

  • 태풍, 제주도에 접근

    제10호 태풍 프리스트가 예상과는 달리 계속 북진,우리나라쪽으로 접근하고있어 추수를 눈앞에 둔 농작물에 뜻하지않은 피해가우려되고있다. 중앙기상대는 27일상오 이미 이 태풍의 간접영

    중앙일보

    1983.09.27 00:00

  • 「공산주의의 종말」이 다가오고 있다|폴란드를 거울삼아 본 그 모순과 허상

    지난 1년 반 동안의 폴란드는 전세계에『공산주의는 실패한다』는 귀중한 교훈 한가지를 가르쳐 주었다. 경제를 일으켜 국민에게 복지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의 공산주의는 실패한 것이다.

    중앙일보

    1982.01.08 00:00

  • 달려온 추위…중부·호남에 첫눈

    한파통보가 내려진 가운데 첫서리가 내린다는 상강인 23일 서울·중부·호남지방에 첫눈이 내리면서 수원·춘천·대관령·울진등 지역은 기온이 빙점이하로 떨어졌고 서울은 예년보다 20여일

    중앙일보

    1981.10.23 00:00

  • 홍수 조절 기능 거의 없는 한강의 댐들

    장마철에 비만 조금 많이 내렸다하면 한강 잠수교가 잠겨 강 남북 교통 소통에 많은 지장을 주고 있다. 특히 올 장마에는 1주일동안이나 잠겨 잠수교가 개통된 75년이래 가장 오랜 기

    중앙일보

    1981.07.09 00:00

  • 한강수 7m에 육박

    장마가 몰고 온 폭우는 3일부터 일단 주춤해졌으나 한강수위는 계속 올라가 한강유역에는 홍수주의보 제2호가 발령중이다. 제1한강교 부근의 한강수위는 3일하오 1시 현재 6m73㎝를

    중앙일보

    1981.07.03 00:00

  • 전국 곳곳서 산사태·가옥침수

    장마초입부터 곳곳에서 비 피해가 일고 있다. 서울과 진주·김해에서는 산사태로 흙더미에 깔리거나 급류에 휩쓸려 3명이 숨지고 10여 명이 부상했으며 경기도 광명시의 주택 76동 3백

    중앙일보

    1981.07.02 00:00

  • 「멸강나방」 전국확산|42개시·군 천2백ha피해‥긴급 방제지시

    가뭄에 시달리다 간신히 숨을 돌린 논에 요즘 멸강나방이 크게 번져 논농사를 괴롭히고 있다. 벼·조·옥수수·목초 등 볏과(미본과)의 잎을 무서운 속도로 갉아먹는 멸강나방은 그동안 가

    중앙일보

    1981.06.25 00:00

  • 빈약한 어항시설…배 댈 곳이 없다

    연안 중소형 어선과 여객선 등의 입출항이 잦은 어항에 방파제 등 선박대피시설이 제대로 안돼 선박파손 등으로 많은 재산피해를 내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부산지방을 비롯, 인천·군

    중앙일보

    1980.09.15 00:00

  • 큰 불이 너무 잦다

    해가 갈수록 각종 재해의 발생빈도와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그 가운데서도 대표적인 예가 화재라 할 수 있다. 특히 겨울철은 화재에 조심해야 될 계절인데도 최근 경향각지에서 잇달아

    중앙일보

    1979.12.25 00:00

  • 연탄「가스」예보제

    중앙관상대는 내년 정초부터 연탄「가스」 의 위험도를 미리 알리는 연탄「가스」 중독주의보를 매일 일기예보와 함께 발표한다는 소식이다. 겨울이면 찾아오는 이 무서운 사고의 위험성을 매

    중앙일보

    1979.11.21 00:00

  • 유행생출혈열 증세 4명 발병 1명 절명

    【광주】 보사부의 유행성출혈열 주의보가 발효중인 가운데 전남도내에서 4명의 유행성출혈열증세 환자가 발생, 1명이 숨지고 2명이 치료중이며 1명은 완쾌됐다. 10일 전남도에 따르면

    중앙일보

    1979.11.12 00:00

  • 영등포 대신시장에 큰불

    18일 하오 l시 40분쯤 서울 영등포구 신길 1동 1l6의15 대신시장(지하1층·지상5층·연건평4천3백47평·대표 이창호·48)에서 불이나 지하층 수성화학공업사(대표 정대남·41

    중앙일보

    1979.03.19 00:00

  • 수인성 질환

    한 여름철에 유행하는 장「티푸스」·이질 등 수인성 질환이 올해는 가뭄 때문에 예년보다 앞당겨 창궐하고 있다. 계속되는 가뭄은 여러 가지 전염병이 발생하는데 좋은 여건을 마련해준다.

    중앙일보

    1978.06.06 00:00

  • 잇따른 해난사고

    동해바다 대화퇴 근해에서 일어났던 어선 조난 참사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한 가운데 지난17일 같은 바다에서 또 다시 대형 조난사고가 발생, 29명의 선원이 사망하는 희생을 빚었다.

    중앙일보

    1978.02.20 00:00

  • 95%나 「가스」가 샌다

    겨울의 초입부터 또 다시 연탄 「가스」 중독 사고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날씨가 흐렸던 지난 일요일과 월요일 이틀사이에는 서울에서만도 23명이 「가스」에 중독돼 목숨을 잃었다. 우

    중앙일보

    1977.12.07 00:00

  • 울릉도 근해의 조난사고

    울릉도 근해에서 고기잡이하던 어부들이 거센 풍랑을 만나 11월2일 현재 41명이 실종되거나 익사하고 그밖에도 1백78명이 행방불명되었다. 해양경찰의 보고에 따르면 지난 29일 이후

    중앙일보

    1976.11.02 00:00

  • 한강수위 점차 줄어들어

    서울중부지방에 사흘째 계속된 폭우로 한강인도교수위는 14일 상오9시부터 7m를 넘어 시간당 10cm씩 불기 시작, 5일 상오4시에는 8m47cm로 한강경개수위 8m50cm를 한때

    중앙일보

    1976.08.16 00:00

  • (6)원양어선 조난|원양어업 무선국 한명종씨

    『돈쓰돈, 쓰쓰돈』고막을 울리는 전문 수신 음과 요란한 무선전화의 확성 음. 인천어업무선국 전신 실은 시시간 이 같은 소음 속에 신경이 날카롭다. 멀리 바다에서 조업중인 어선들의

    중앙일보

    1974.12.17 00:00

  • 장마경보

    지난 주말에 발표된 장마예보는 좀 앞당겨질 것 같다. 중앙관상대는 벌써 오늘부터 영·호남지방에 호우주의보를 내리는 동시에 장마전선의 접근을 예보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올해

    중앙일보

    1974.06.17 00:00

  • 해빙기의 사고들

    해빙기에는 축대·가옥 등의 붕괴사고와 연탄「가스」중독사고 등이 일어나기 쉽다. 올해도 벌써부터 곳곳에 해빙기 사고의 복병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사고는 불가항력적인 경우도 있

    중앙일보

    1974.03.06 00:00

  • 훈병사고

    해군 훈병 1백 50여명이 익사 혹은 실종된 것으로 알려 졌다. 실종자들이 생존해 있을 가망성은 거의 없다. 그것은 수중에서 일어난 사고이며, 또 이미 상당한 시간이 지나가 버렸다

    중앙일보

    1974.02.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