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지하철 역세권 샛길 노른자위 商圈으로

    사람은 큰길보다 샛길로 몰린다.큰길로 가나 샛길로 가나 비슷한 거리일때도 샛길이 더 붐빈다.샛길로 들어서면 실제 거리에 관계없이 심리적으로 지름길처럼 여겨지기 때문이다. 전철 역세

    중앙일보

    1996.04.24 00:00

  • 압구정 로데오거리 구두점

    서울 압구정동 로데오거리에 자리잡고 있는 40여개 구두전문점들의 권리금은 평수에 따라 최하 8천만원에서 최고 3억3천만원까지 간다.이 지역 상권이 강남의 핵심상권인만큼 권리금이 만

    중앙일보

    1996.04.01 00:00

  • 마을버스 통과하는 골목길商圈 주민 그냥 지나쳐 매출 하락

    마을버스가 동네 상권에 일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종전에는 언덕빼기나 산동네 거주자들이 큰길에서 걸어 오르내려골목길 상권이 크게 번창했으나 마을버스가 생겨 그대로 통과하기때문에

    중앙일보

    1996.03.16 00:00

  • 서울 신천역 당구장

    서울 신천역 새마을시장 먹자골목 주변의 30여군데 당구장의 권리금이 평수에 따라 최하 7천만원에서 최고 2억원까지 나간다. 이 지역의 상권이 신천의 로데오거리로 불릴 만큼 강남의

    중앙일보

    1996.03.04 00:00

  • 성신여대입구 소주방

    서울 돈암동 성신여대입구 골목에 자리잡고 있는 40~50여개소주방의 권리금이 평수에 따라 최하 7천만원에서 최고 3억6천만원까지 간다.이 지역의 상권이 서울의 대학촌 상권중에서도

    중앙일보

    1996.02.05 00:00

  • 동대문시장 1평 의류점포값 최고5억

    서울 동대문시장의 1평짜리 의류점포 가격이 최고 5억원을 육박하고 있다.강남의 50평형대 인기아파트 한채 값이다. 동대문 신평화시장 맞은편의 5층짜리 의류도매상가인 「아트프라자」는

    중앙일보

    1995.11.28 00:00

  • 서울 잠실본동 "신천 먹자골목"-강남 신흥상권 떠올라

    서울 잠실본동180~190 일대의 올림픽로 남쪽 이면도로 속칭 「신천먹자골목」이 젊은이의 거리로 자리잡으며 강남의 신흥상권으로 부상하고 있다. 아시아공원입구 맞은편에서 잠실 천주교

    중앙일보

    1995.10.19 00:00

  • 서울 방배동 대지101평

    부동산은 개발전에는 다양한 용도로의 잠재력을 가지지만 일단 개발되면 해당용도외에는 사용이 불가능해지고 그 안에서 철저히 수요.공급의 원리에 따라 가치가 결정된다.따라서 개발전 해당

    중앙일보

    1995.05.18 00:00

  • 地自體 제몫찾기 극성-지역갈등 증폭 우려

    본격 지자제 시행을 앞두고 각급 자치단체별로 민원성 혐오시설의 타지역으로 밀어내기를 서두르는가 하면 광역도시계획에서는 이전이 계획됐다가 지자제 실시후의 재원등을 고려,계획을 변경하

    중앙일보

    1995.02.16 00:00

  • 4.미용실

    미용실은 짧은 시간에 배워 큰힘 안들이고 개업이 가능한 업종중 하나로 요즘 날로 늘어나는 추세다. 대한 미용사 협회와 전국 60개 지부에 가입된 업체수는 전국에 6만5천개 (서울지

    중앙일보

    1995.02.09 00:00

  • 서울 연희동 부동산시세

    서울서대문구 연희동은 신촌상권이 인접해 있는데다 시청까지 출퇴근 시간에도 20분내에 닿을 수 있는 대단히 편리한 교통조건을 갖춘 동네다. 서대문구 전체인구 38만5천3백14명중 1

    중앙일보

    1994.11.13 00:00

  • 서울 의류상권 청담동.명동.신촌 3개 圈域 특화

    서울의 의류상권이 청담동.명동.신촌(이화여대앞)등 3개 권역으로 특화되고 있다. 청담동은 1백평 이상의 대형 수입의류 전문매장이 속속 들어서고 명동은 국내 유명브랜드들이 5~6층

    중앙일보

    1994.11.08 00:00

  • 경동 한약재상가

    서울 경동한약상가에 처음 들어서면 우선 복잡한 간판부터 만나게된다. 동대문구제기동 일대의 2만5천평규모에 빽빽이 들어선 1천여개 점포의 간판이 이곳을 찾는 사람들을 가장 먼저 반긴

    중앙일보

    1994.10.30 00:00

  • 大路뒷길인기상권 탈바꿈

    「장사는 대로변이 잘된다」는 통념을 깨고 큰길에서 한블록 뒤로 들어간 이면(裏面)상권이 각광받고 있다.특히 종래 대로변 점포를 절대적으로 선호하던 식.음료업종에서 이같은 양상이 두

    중앙일보

    1994.09.28 00:00

  • 종로3가 일대

    서울이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전인 60년대까지만 해도 시내로 들어갈때는 『門안으로 간다』는 말이 일상적으로 사용됐다.門안이란 한양도성의 4대문안을 가리키는 말로 지금의 종로.중구가

    중앙일보

    1994.09.02 00:00

  • 4.명동성당

    明洞의 名所는 뭐니뭐니해도 명동성당이다.서울 사람치고 한번쯤이곳을 찾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이고 외국관광객들이 즐겨 찾는 곳도 명동성당이다.카톨릭신자가 아니더라도 마찬가지다. 명

    중앙일보

    1994.07.31 00:00

  • 도심재개발 현지 개량방식 도입

    도심 재개발 사업에 따라 사라질 위기에 놓였던 청진동 해장국 골목과 다동·북창동의 음식점 밀집지역이 보존된다. 서울시는 1일 기존의 획일적 구획정리를 통한 고층화 방식의 도심 재개

    중앙일보

    1991.02.01 00:00

  • 지하철 2기 시대|사당역 일대 대형시장 탈바꿈 움직임|달라지는 지역상권 4호선 연장

    안산·안양·군포와 서울을 연결하는 교통망으로 지난해말 착공된 4호선 연장노선 사당∼금정구간은 현재 각종 유흥업소가 늘어서 호황을 누리고 있는 사당역 부근 상권에 더욱 활기를 불어넣

    중앙일보

    1990.01.09 00:00

  • 지하철 2기시대(7)|2, 3, 7호선 환승역주변 투자 활기|달라지는 지역상권 분당선

    지하철 분당선중 왕십리∼한양쇼핑앞∼강남구청앞∼선릉역∼개포동을 지나게 될 왕십리∼수서구간은 현재 백화점·패션상가·아파트상가를 중심으로 형성된 상권이 분당·성남지역 주민을 포함, 많은

    중앙일보

    1990.01.06 00:00

  • (6)5개역중심 유통시설 발전 기대|달라지는 지역상권(분당권)

    시범단지 아파트 분양때 폭발적인 관심을 끌었던 분당과 서울도심을 잇는 분당선(분당∼왕십리) 중 오는 2월께 우선 착공되는 분당∼수서구간은 현재 성남시장을 빼놓고는 이렇다할 상권이

    중앙일보

    1990.01.04 00:00

  • (5)가든 호텔 주변 재개발 활기…마포의 얼굴로

    서울시가 지하철 2기 2단계 사업으로 당초 93년 착공키로 했다가 정부의 세계(세계) 잉여금 지원으로 90년 말로 착긍 시기를 3년 앞당기기로 한 영등포∼도심∼왕십리의 도심구간도

    중앙일보

    1989.12.29 00:00

  • (하)서울 전문 상가 지역 분산 활발

    서울의 전문상가는 도심에서 부도심·외곽으로의 활발한 지역분산이 이뤄지고 있다. 강남이 명동대신 새로운「패션1번지」로 부상하고 건자재가 도심의 을지로 단일 상권에서 영등포·논현동 등

    중앙일보

    1989.12.20 00:00

  • 달라지는 지역 상권 3호선 연장|분당~시내 연결 고리로 도곡 터널 뚫리면 사통팔달 교통요지

    서울에 또 한차례 대변화의 바람이 일기 시작했다. 지하철 3호선 연장노선 건설공사로 시작된 지하철 2기 시대가 지역상권 변화를 예고하고있는 가운데 85년10월 3, 4호선 완전 개

    중앙일보

    1989.12.19 00:00

  • 이색시장을 가다

    제기동에서 청량리로터리쪽으로 가다보면 결혼회관·경동시장을 조금 못미쳐 아치형 간판이 걸려있는 골목이 하나 있다. 경동한약상가. 골목을 채 들어서기도 전에 코를 찔러오는 한약냄새.

    중앙일보

    1989.05.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