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103)김을한|해방에서 환국까지

    「스즈끼」(영목일)씨는 그때까지 한국에는 한번도 가본일 없는 사람이었다. 그렇건만 초대「출입국 관리국장」이 되고 보니까 일본의 출입국 사무란 대부분이 한국 사람에 관한 일이요, 모

    중앙일보

    1970.09.04 00:00

  • (102)김을한|해남에서 환국까지

    고종황제가 그 옛날 해아(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밀사를 파견하고 그후 파리강화회의 때에도 밀사를 보내려다가 비명횡사를 한 것은 역사상 유명한 이야기거니와 해아 밀사사건 당시에는 그

    중앙일보

    1970.09.03 00:00

  • (100)해방에서 귀국까지|김을한

    이 대통령이 일본정부에 반환을 요구한 재산 중에서도 동경의 영친왕 저는 더구나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었다. 동경 아까사까(적판)에 있던 그 집은 (지금의 적판 프린스·호텔)지난날

    중앙일보

    1970.09.01 00:00

  • (99)김을한|해방에서 환국까지

    6·25동란 당시의 주일공사는 김용주씨였다. 김용주씨는 대한해군공사 사장으로 있던 것을 신흥우박사가 주일대사를 사임하자 허정 교통부장관의 추천으로 외교관이 된 사람이었다. 김 공사

    중앙일보

    1970.08.31 00:00

  • (98)김을한|해방에서 환국까지

    영친왕비의 말은 계속된다. 당시 주일대표부는 동경에서도 제일 번화한 긴자(은좌)4정 목 핫도리(복부) 빌딩 4층에 있었다. 핫 도리는 본래 유명한 시계 점이었는데 당시로서는 가장

    중앙일보

    1970.08.29 00:00

  • (97)김을한|해방에서 환국까지

    6·25동란이 일어나기 직전까지 동경 영친왕저에는 방문객이 빈번하였다. 그 중에는 재일 조선인 총 연맹의 김천해와 대한 민국 거류민단의 박렬씨도 있었는데 김천해는 해방 전부터 조선

    중앙일보

    1970.08.28 00:00

  • (94)김을한|해방에서 환국까지

    그같이「지미·김」(길준) 이나 홍사익 중장의 불행한 최후는 영친왕에게 크나큰 타격을 주었거니와 그 보다도 더욱 영친왕을 놀라게 하고 또 슬프게 한 것은 상해 임시정부가 와해되고 그

    중앙일보

    1970.08.25 00:00

  • (92)김을한|해방에서 환국까지

    불행하게도 교통사고로 죽은「지미·김」(길준)과 그의 부인 그리고 어린 아들의 세 유해는 동경에 있는 미국인 교회에서 영결식을 거행한 후「요꼬하마」(횡빈) 화장 장에서 불살랐다. 그

    중앙일보

    1970.08.22 00:00

  • (91)김을한|해방에서 환국까지

    그후 대한민국이 탄생하자 구 왕실의 재산은 동산이고 부동산임을 막론하고 전부 국 유로 되었고 구 왕족의 생계는 국가에서 보장하기로 되었다. 그러나 운현궁만은 사정이 달랐으니 그것은

    중앙일보

    1970.08.21 00:00

  • (90)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영친왕은 천일파이니까 왕위를 계승할 자격이 없다는 진정서가 미 군정청에 들어갔을 무렵, 그와 때를 같이하여 당시 입법의원에서는 「반민법안」을 상정하고 누가 민족반역자이고 아닌 것을

    중앙일보

    1970.08.20 00:00

  •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당시 한국의 형편은 어떠하였던가? 제2차 세계대전의 말기 독·이 양국이 먼저 항복하고 일본이 혼자서 악전고투할 때 일본의 최강군이라는 만주의 관동군은 이미 대부분이 남방으로 이동해

    중앙일보

    1970.08.18 00:00

  • (87)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8·15 해방이 되었을 때 영친왕은 누구보다도 아버님 고종황제를 생각하였었다. 큰 어머님 명성황후가 일본 장사패에 의해서 참혹한 죽음을 한 이래 평생을 두고 일본을 원망하고 저주하

    중앙일보

    1970.08.17 00:00

  • (83)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일본 황족들의 신적 강하로 소위 「왕공가 규범」에서 벗어나 「이은」「이방자」의 제3국인이 된 영친왕부처는 재일 한국인으로서 구역소 (구청)에 등록을 하게 되었다. 일본천황이 「인간

    중앙일보

    1970.08.11 00:00

  • (82)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일본이 「포츠담」선언을 수락하고 무조건 항복을 하기까지에는 여러가지 곡절과 파란이 있었으나 그중에도 소위 천황제가 유지되느냐, 아니 되느냐가 가장 큰 문제였다. 일본의 군국주의자와

    중앙일보

    1970.08.10 00:00

  • (77)해방에서 환국 까지|김을한

    영친왕은 생각하였다. 『그렇다. 역사의 마지막 「페이지」에 다만 한 줄 쓰여지고 말 자기의 생애. 그렇지만 한국으로 돌아가 한국을 위해서 일할 자리가 어딘가 있지 않을까? 그것은

    중앙일보

    1970.08.04 00:00

  • (76)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1945년 8윌 15일-이날은 일본이 무조건 항복을 하는 날이었다. 그보다 먼저 「나스」(나수) 별장에 가있던 영친왕비는 동경의 공습이 더욱더 심해가고「히로시마」에는 필경 원자폭탄

    중앙일보

    1970.08.03 00:00

  • (74)|해방에서 환국 까지|김을한

    그보다 먼저 영친왕이 제1항공 군사령관에 취임하자마자 서울로부터 윤홍섭씨가 왔다. 윤씨는 순종 왕비 윤 대비 마마의 친정 조카로 일찌기 미국 유학을 하였으며 설산 장덕수씨와의 친분

    중앙일보

    1970.07.31 00:00

  • (73)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그런데 이것도 그때 이우공으로부터 들은 이야기인데 영친왕은 동경 왕저 일실에 아무도 모르게 역대 임금의 신위를 모시어 놓고 한식과 추석에는 꼭 다례를 지내고 아들 「구」씨가 여섯

    중앙일보

    1970.07.30 00:00

  • (71)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1940년 여름- 즉 태평양전쟁이 일어나기 바로 전 해에 동경 「히비야」 (일비곡) 공회당에서는 한성준 일행이 조선의 고전 무용을 공연하여 전문가들의 격찬을 받고 있었다. 한성준씨

    중앙일보

    1970.07.28 00:00

  • (69)해방에서 환국까지

    영친왕이 재1항공군 사령관에 취임한 것은 1943년7월20일이었는데 태평양전쟁의 양상은 더욱더 가열해져서 일제는 그후 꼭2년만에 무조건항복을 하여 8·15해방을 맞이하게 되었는데

    중앙일보

    1970.07.25 00:00

  • (68)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영친왕은 그해 12월에 육군중장에 승진하고 다음해 7월에는 우도궁 제51사단장에 임명되어 8월에는 벌써 부대를 이끌고 북지의 금주로 출발하였다. 소위 만주사변이 일어난지도 벌써 1

    중앙일보

    1970.07.24 00:00

  • (65)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2·26 사건은 일본군끼리 싸워서 한 때는 동경이 불바다가 될 뻔하였으나 영친왕의 우도궁 제59연대가 반란 부대를 포위한지 이틀만에 항복하여 겨우 대란만은 면하였으나 그 사건이 끼

    중앙일보

    1970.07.21 00:00

  • (64) 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1936년에 일어난 소위 2·26 사건은 명치 유신 후 일본의 가장 중대한 사건의 하나였다. 그보다 먼저 1931년9월18일에는 일본 군부가 「만주사변」을 일으켜서 봉천의 군벌 장

    중앙일보

    1970.07.20 00:00

  • (61)해방에서 환국까지

    영친왕의 「구라파」여행은 1927년5월23일, 동경을 출발하여 그 이듬해 4월10일에 돌아왔으므로 거의 l년 동안을 여행한 셈인데 그때의 일을 방자비는 자신의 수기에서 다음과 같이

    중앙일보

    1970.07.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