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에 새 수도권 건설론 나와

중앙일보

입력

수도권 집중 심화로 인한 각종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대전에 새로 수도를 건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서울대 환경대학원 최상철(崔相哲·61)교수는 23일 오후 (사)대전개발위원회(회장 강용식) 주최로 대전 유성호텔에서 열린 ‘21세기 대전 개발 방안과 위상 제고’란 주제의 세미나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崔교수는 “지방자치가 실시된 지 10년이 지났으나 수도권 집중 현상이 심해지는 ‘신중앙집권주의’의 망령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36년간의 영남정권 시대에 계속돼 온 ‘호남 푸대접,충청 무대접,태백권 무시’라는 기존 정서는 호남에서 대통령이 나오면서 바뀌었다”며 “하지만 무엇인가 잃어버린 것같은 허탈감에 빠져 있는 영남도,푸대접 시대가 끝나면서 역전(逆轉)의 꿈에 부풀어 있던 호남도 수도권 일극(一極) 집중현상에는 속수무책이자 힘을 합쳐 오월동주(吳越同舟)하는 새로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했다.

崔교수는 “오랫동안 계속돼 온 영·호남간의 지역 갈등이 요즈음에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이의 갈등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같은 상황에서 지역 균형발전의 논리로 볼 때 지난 1970년대에 박정희(朴正熙) 당시 대통령이 발표한 ‘신(新)수도 건설계획’은 현재도 설득력이 있다”며 “국토의 중심지이며 교통·군사·과학·행정도시인 대전이 수도 건설의 최적지”라고 주장했다.

대구 출신인 崔교수는 국내 환경·지방자치학계의 원로로,서울시 도시계획위원·지역학회장·서울시정개발연구원장·한국환경교육학회장등을 지냈다.

◇신수도 건설 계획=박정희 전대통령이 1977년 2월 서울시청 연두 순시 때 전격 발표했으나 79년 10·26 사건으로 시해되면서 흐지부지됐다.

당시 서울 인구가 7백만명을 넘어서자 안보 논리및 수도권 집중 억제 논리에서 입안됐다.

서울이외에 새 수도를 건설,남북통일이 될 때까지 행정부를 임시로 이전한다는 게 계획의 주요 내용. 당시 청와대 경제 수석 아래 ‘중화학공업추진기획단’이란 이름으로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가하는 실무 작업단을 구성,수도 이전 후보지로 천안∼대전 사이 지역을 선정했었다.

대전=최준호 기자 <choij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