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alatin! 너 잘 만났다! ASUS TUSL2-C [2]

중앙일보

입력

우선 메인보드의 레이 아웃을 보자. 아! 이것은 하고 느끼시는 분들도 계실 것이다. TUSL2-C는 ASUSTek의 대표적인 815EP 메인보드였던 CUSL2-C와 흡사하다 못해 같은 설계 구조의 레이 아웃을 가지고 있다. B Stepping의 815EP 칩셋이라는 점 이외에는 레이 아웃 상 크게 차이가 없어 보인다.

소켓 주변부. 소켓은 FCPGA, FCPGA2 지원의 370 소켓을 사용하고 있다. ASUS 메인보드는 비교적 콘덴서들이 많이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 CUSL2-C나 다른 ASUS 메인보드 모델과 비교하자면 소켓 주변에 있는 콘덴서의 숫자가 조금 줄었다는 것이 특징이다.

3개의 메모리 소켓은 최대 512KB의 SDRAM 메모리를 지원하고 있다. 현재 저렴해진 SDRAM의 가격이라면 512KB의 메모리 구성도 어렵지 않은 메모리 소켓의 수라는 점에서 무난하다고 판단된다.

확장 슬롯은 6개의 PCI 슬롯과 1개의 AGP 슬롯, 1개의 CNR 슬롯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PCI 기기들의 장착에 유리한 6 PCI 슬롯의 구성을 유지하고, CUSL2-C와 달리 현재 많이 쓰이지 않고 있는 2개의 CNR 슬롯을 1개로 줄였다. 심플하면서도 필요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확장 슬롯의 구성이라고 평할 수 있겠다.

레이 아웃 상에는 CUSL2-C와 그리 큰 차이가 보이지 않는 TUSL2-C이지만, 차이점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것은 Serial COM2 Header 대신 삽입된 SmartCard Connector이다. 이 커넥터를 통해 다른 주변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PC/SC Compliant SmartCard Reader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USB 포트를 확장 연결할 수 있는 USB Header는 2개의 Header에서 하나의 Header로 줄어들었다. 하지만 4개의 USB 포트를 지원한다는 것은 변함이 없다. 또한 사라진 USB Header 바로 밑에 있는 ASUS iPanel Connector는 Option으로 연결되는 LED를 통해 I/O 기기들의 상태를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ASUS만의 기술이다.

ASUS뿐 아니라, 이제는 많은 메인보드들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클럭 설정용 점퍼 스위치인 DSW는 CPU, DRAM, AGP 슬롯의 시스템 버스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점퍼의 위치 변환으로 8가지의 클럭 설정이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JumperFree Mode는 BIOS 상에서 미세한 클럭의 조정과 그에 알맞은 시스템 버스를 설정할 수 있어 고급 유저에서 초급 유저까지 누구나 만족할 수 있는 설정 구조로 보인다.

깨끗한 구성으로 매뉴얼의 표준이라 칭할 수 있는 제품 설명서 (영문이라는 점이 상당히 아쉽다.)와 확장 USB 단자, 바이러스 방지와 Video & Audio 재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함께 담고 있는 드라이버 CD, FDD & IDE 케이블로 되어 있는 번들 제품의 구성은 ASUS의 메인 보드 군에서 항상 볼 수 있는 구성이다. ASUS의 번들 구성은 최근 1년간 그리 변하지 않고 일관적인 구성품들을 제공하고 있는데, TUSL2-C에서도 그러한 점은 크게 변하고 있지 않다.

이중민
자료제공:pcbee(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