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GL의 이해 [1]

중앙일보

입력

OpenGL

    SGI(구 실리콘 그래픽스사)의 IrisGL라이브러리에 기초하고 있는 그래픽 API. 고품질의 3차원 그래픽을 구현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유닉스 환경에서 지원하고 있으며 최근 에는 윈도우즈에서도 지원하고 있다.

요즘에는 실제 인간이 연기하는 대신에 3D로 주인공을 만들어서 영화를 만들어 상영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이것은 이젠 옛날 영화에 나오던 ‘컴퓨터가 자신의 형상을 실제 인간처럼 만들던’ 스토리가 이젠 거의 현실화 되어가고 있다는 말도 되는 것이지요.

물론 영화에서는 컴퓨터 자신이 자아를 가지고 자신의 필요에 의해서 만들지만 현실에서는 인간이 필요에 의해서 만드는 점에선 다릅니다만. 이런 영상처리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그래픽 API로 OpenGL, Glide, Direct X가 존재합니다. 각 특징을 얘기를 한다면…

    ㄱ. 하드웨어에 대한 의존성이 강하여 하드웨어에서 이 API를 지원하지 않으면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ㄴ. Direct X와 Glide가 속도에 치중하는 API인 반면 OpenGL은 화질에 치중을 하는 API입니다.

    ㄷ. Direct X와 Glide가 해당하는 OS나 하드웨어를 구입하면 사용할 수 있는 반면에 OpenGL의 경우는 SGI사(구 실리콘 그래픽스)에 따로 로열티를 지불해야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이 경우는 VGA 제조사가 라이센스를 맺어서 VGA에 기술적 지

    ㄹ. Glide와 Direct X의 경우 x86(Personal Computer)를 기반으로 두고 개발한 API이지만 OpenGL은 SGI사의 워크스테이션을 위해서 개발한 API입니다.

이런 기본적이 개발 환경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OpenGL의 점유율은 적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특성 때문에 동영상을 만들때나 3D캐릭터를 작성할 때 이 OpenGL을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만듭니다.(물론 상대적으로 로열티 문제로 인해 프로그램의 가격은 상상을 불허할 정도로 고가입니다.)
결론적으로 OpenGL은 고가의 시스템과 고가의 Software를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사용이 가능한 API입니다.

신현우
자료제공:pcbee(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