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카메라에 휴가 추억 담자

중앙일보

입력

방학.휴가철을 맞아 휴가계획 짜기에 바쁜 사람들이 많다. 어디로 갈지도 중요하지만 달콤한 추억을 남길 준비도 필수적이다.

그래서인지 디지털 카메라.디지털 캠코더를 새로 장만하는 경우가 늘고, 때맞춰 신제품 출시와 판매 이벤트도 잇따른다. 구입 요령과 최근 제품 경향을 살펴 본다.

◇ 디지털카메라〓디지털카메라를 찾는 사람들의 고민은 ''어떤 물건을 사야 후회가 없을까'' 다. 디지털카메라는 새로운 모델이 자주 나오고 끊임없이 성능 대비 가격이 떨어지는 것이 특징. 따라서 PC를 살 때처럼 스스로 용도와 구입시점을 판단해야 한다.

디지털카메라는 얼마나 정밀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화소'' 수로 등급을 결정한다. 35만 화소급이라면 최고화질로 할 때 모니터 화면의 해상도 640×480에 맞출 수 있는 사진이 나온다. 요즘 많이 쓰는 2백만 화소급은 1800×1600 사이즈에 맞출 수 있다. 최대 어느 정도면 되겠는지 생각한 뒤 등급을 결정해야 한다. 또 사진을 기억시키는 메모리의 용량과 이를 손쉽게 확장할 수 있는지 살핀다. 다음에 제조업체.디자인 등을 따지는 것이 올바른 구입순서다.

최근에는 50만~60만원대인 2백만 화소대 제품과 PC카메라 겸용의 10만원대 ''듀얼모드'' 카메라가 많이 팔리는 편이다. 특히 2백만 화소대는 필름을 쓰는 기존 자동카메라 정도의 화질은 충분히 나오기 때문에 인기가 높다.

올림푸스가 최근 1백31만~2백11만 화소급의 보급형 3개 모델을 출시했고 소니는 고급형 신제품 DSC-S85를 선보였다. 엡손도 포토PC 3100Z모델을 최근 출시했다.

◇ 디지털캠코더〓캠코더도 디지털 기종을 택하는 사람이 부쩍 늘고 있다. 업계에서는 올해 말께면 아날로그형보다 디지털캠코더의 판매가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흔히 DV방식으로 불리는 디지털캠코더의 가장 큰 장점은 뛰어난 화질. 또 몇가지 SW만 갖추면 PC와 연결해 자유롭게 편집하고 인터넷에 올리는 게 손쉬운데다 오래 보관하고 자주 봐도 화질이 전혀 떨어지지 않는 것도 특징.

DV캠코더는 일부 고급 제품을 제외하면 화소.줌 등 기본 성능에 따른 가격대가 업체마다 비슷하다. 대략 68만 화소급에 1백20~1백50만원 전후에 권장소비자가격이 형성돼 있다. 따라서 자신이 원하는 ''브랜드'' 와 AS, 주변의 평판 등을 두루 살펴 구입할 때 참고하면 된다.

단 일부 아날로그형 캠코더가 ''디지털'' 을 내세우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화면을 확대할 때 디지털 기술을 쓴다는 뜻일 뿐 DV방식과는 전혀 다르다는 점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JVC는 최근 3백40g짜리 초경량 모델인 GR-DVP3를 출시했다. 삼성전자는 8월께 디지털캠코더 신제품 여러 모델을 새로 선보일 계획이다.

◇ 여름철 관리요령〓전자제품 최대의 적은 ''물'' 이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캠코더는 정밀한 전자제품으로 아날로그형보다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휴가철 강이나 바다를 찾았다가 물에 빠뜨리거나 젖게 되면 전원을 켜지 말고 바로 AS센터를 찾는 것이 상책이다.

카메라.캠코더를 위한 방수 프로텍터도 있지만 각 모델에 맞는 전용제품을 구하기가 쉽지 않은데다 값도 비싸다.

이승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