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화업계 '마늘분쟁은 마늘로 풀어라'

중앙일보

입력

정부가 중국과의 2차 마늘협상에서 추가 도입키로 한 중국산 마늘의 수입비용 일부를 석유화학업계에 분담시키려는 시도에 대해 업계가 반대 움직임을 구체화하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석유화학업계는 자체 모임인 한국석유화학공업협회(회장 성재갑 LG화학 부회장)를 중심으로 `마늘분쟁은 반드시 마늘로 풀어야 한다'는 결론 을 내리고 마늘 수입비용을 결코 분담할 수 없다는 쪽으로 최종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김진모 석유화학공업협회 상근 부회장과 박훈 상무이사는 이날 산업자원부를 방문, '국내 유화업계는 중국산 마늘 도입비용을 업계에 분담.전가하는 것은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며 정부측에 재고를 요청했다.

이들은 '최근 중국이 한ㆍ중간의 무역수지 불균형을 시정하기 위해 갖가지 트집을 잡고 있는 마당에 유화업계가 폴스에틸렌(PE)을 대량 수출하고 있다는 이유로 그들의 요구를 들어줄 경우 산업계 전반에 좋지 못한 선례를 남길 수 있다'고 난색을 표했다.

협회의 또 다른 관계자도 '중국이 민간부문의 마늘수입 약속 불이행을 이유로 유화제품과 휴대폰 수입을 중단했던 것은 대한(對韓) 무역역조 심화에 제동을 거는데 본보기로 삼기위한 것일 뿐, 유화.휴대폰업계의 자체적 잘못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며 '유화.휴대폰업계에 국한된 문제가 아닌 만큼 산업계 전반의 차원에서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대해 산자부는 업계측 주장에 원칙적으로 공감하면서도 마늘수입 비용분담 문제는 다른 부처와 보조를 맞춰 범정부적 차원에서 해결해야할 과제라며 신중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지난달 중순 한ㆍ중 마늘분쟁 협상을 타결하면서 작년도 민간분야 중국산마늘 미수입분 1만300t을 오는 8월말까지 t당 550달러에 도입키로 했었다.

또 수입비용 약 100억원은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제3국으로 재수출한다는 전제아래 대중(對中) 마늘수입 약속 불이행시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되는 폴리에틸렌 및 휴대폰 생산업체들이 일부 부담할 것을 요구했다.(서울=연합뉴스) 유택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