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한 신의진 사퇴” “쉬쉬하면 해결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민주통합당 당직자의 여기자 성추행 사건을 폭로한 새누리당이 ‘2차 가해자’인가, 아니면 이를 공개하지 않은 민주통합당이 ‘은폐 시도’를 한 것인가.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12일 이를 놓고 설전을 벌였다. 먼저 민주당이 새누리당 신의진 원내대변인의 이 사건 공개 행위를 ‘2차 가해’로 규정하고 신 대변인의 당직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박용진 대변인은 “정치공세를 하더라도 할 일이 있고 안 할 일이 있다”며 “피해 여기자가 (사실)공개를 원치 않았음에도 정신과 전문의라는 사람이 공개하는 것이 맞느냐”고 따졌다. 세브란스병원 정신과 의사 출신 신 의원이 2008년 ‘조두순 아동 성폭력 사건’의 피해 어린이 주치의였음을 고리로 해서 역공세를 편 거다.

 박 대변인은 “(성추행 사실 폭로로) 직장에 가면 쳐다보고 수군거릴 텐데 피해 여기자가 정상적으로 활동할 수 있겠느냐”며 “대한민국 정당의 인권 감수성이 이것밖에 안 되느냐”고 했다. 그러면서 “신 대변인이 개인적으로 (폭로)했다면 당직을 그만둬야 하고, 당 차원에서 했다면 원내대표가 책임져야 할 문제”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측은 성추행 사건 해결 과정에 대해선 “(당직자들에게) 예방차원의 교육활동을 제대로 했는지는 자체 점검하겠지만 처리 과정에선 피해자 중심주의에 입각해서 잘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이에 신 대변인은 “발표 당시 (2차 가해를 우려해) 피해 여기자의 이름이나 소속 언론사를 밝히지 않았다”며 “만약 피해 여기자가 책임을 묻는다면 겸허하게 받아들이겠지만, 민주당에서 2차 가해 운운하는 건 자신들의 (사건은폐) 잘못을 흐리려는 정치 공작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반박했다. 또 “조두순 사건 때 주치의로서 많은 교훈을 얻었다”며 “그런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쉬쉬하고 사건을 덮는다고 해결되는 게 아니다. 피해자의 인적 사항이나 프라이버시는 보장하는 선에서 공론화를 통해 사회적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다시는 그런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게 최선”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여기자협회(회장 정성희)는 이날 성명서를 통해 “취재 현장에서 마땅히 지켜져야 할 언론인으로서의 품격과 존엄성이 취재원과 동료기자로부터 훼손당한 것은 명백한 인권침해이자 묵과할 수 없는 범죄”라며 ”민주통합당과 해당 언론사는 이번 사건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통해 진상을 밝히고 관련자들에게 응분의 책임을 묻는 한편 재발방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류정화·손국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