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개인용 컴퓨터 가정보급률 26.8%

중앙일보

입력

지난해 개인용컴퓨터의 가정보급률은 3.7가구당 1대꼴인 26.8%로 늘고 PC보급량은 99년보다 60%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전자산업진흥회가 19일 발표한 `2000년 국내 컴퓨터보급 현황''에 따르면 IDC 코리아와 공동 조사한 결과, 2000년에 보급된 PC는 99년보다 59.7% 증가한 460만2천대,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은 190.8% 늘어난 9만4천830대, 범용컴퓨터는 61.8% 증가한 1만6천362대로 각각 조사됐다.

작년말 현재 국내에서 가동중인 PC는 1천125만5천대, 서버 및 워크스테이션은 16만9천222대, 범용컴퓨터는 5만7천900대로 파악됐다.

이에따라 PC의 가구당 보급률은 97년 16%(6.3가구당 1대), 99년 19.4%(5.2가구당 1대)에서 지난해에는 26.8%(3.7가구당 1대)로 높아진 반면 PC 1대당 사용인원은97년 6.6명, 99년 5.5명에서 작년에는 4.2명으로 낮아졌다.

특히 지난해 보급된 PC 가운데 펜티엄Ⅲ가 357만3천대로 전체의 77.6%를 차지해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붐을 타고 PC의 고급화가 진전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데스크톱 PC의 보급은 지난해 325만3천대로 99년에 비해 60.1% 늘었고 노트북PC의 보급은 45만9천대로 56.1% 증가했다.

진흥회는 지난해 국내 PC시장은 상반기 호조와 하반기 부진의 극심한 양분화 현상이 나타난 가운데 ▲가격인하에 따른 노트북PC 시장의 성장 ▲인터넷 인프라 확장 ▲저가PC 시장의 형성 ▲교육정보화 조기 집행에 따른 공공시장 확대 ▲AMD칩 PC시장의 확대에 따른 인텔CPU의 독점체제 붕괴 등을 특징으로 꼽았다.

수요처별 PC보급현황을 보면 민수용이 99년 대비 76.7% 증가한 316만2천대로 전체의 68.7%를 차지했고 공공용은 31.9% 늘어난 142만9천대 등이었다.

세부업종별 비중을 보면 개인.가정이 95.8% 증가한 192만6천569대가 보급돼 전체의 41.9%를 차지한데 이어 제조업(11.4%), 금융기관(9.6%) 등이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전체 보급량의 36.4%에 해당하는 167만3천892대, 경기도가 13.6%인 62만4천759대, 부산이 8.8%인 40만3천241대가 보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워크스테이션과 PC서버의 수요처를 보면 기업이 전년보다 214.1% 증가해 전체보급량의 81.8%를 차지했고 교육.연구기관이 173.9%, 정부기관이 63.5% 늘어났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계에 보급된 비중이 30.2%로 가장 높은데 이어 금융기관 18.8%, 공공기관 18.2%, 제조업 18.1% 등의 순으로 파악됐다.

특히 워크스테이션 및 서버 부문은 닷컴기업의 투자 증가와 IDC(인터넷 데이터센터)의 수요 증가에 따라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고성장세를 유지했다.

99년에 비해 61.8% 증가한 범용컴퓨터는 ▲제조업분야의 21세기 신정보시스템인프라 구축 ▲금융권의 인터넷 뱅킹 및 사이버 증권 관련 수요 증가 ▲유통 및 여행사의 온라인망 구축 ▲통신부문 인프라 구축 등이 증가요인으로 분석됐다.

범용컴퓨터의 기종별 보급현황을 보면 하이엔드서버는 전년대비 6.3% 증가한 135대, 미들엔드는 53.9% 늘어난 2천414대, 엔트리 서버는 64.1% 증가한 1만3천813대가 각각 보급됐다.

수요처별로 보면 기업부문이 9천848대가 보급돼 99년보다 77.2% 증가했고 공공부문은 6천514대로 42.9% 늘어났다. (서울=연합뉴스) 정준영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