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마늘분쟁' 조기수습 나서…14일 관계장관회의

중앙일보

입력

정부는 한.중 마늘분쟁을 조기에 수습하기 위해 14일 오전 외교통상부, 농림부, 산자부 등 관계장관 회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관계장관들은 이번 회의에서 중국측의 마늘 1만t 추가수입 요구에 대한 정부의 최종 입장을 정리하고 부처와 업계간 이견을 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중국측의 요구가 국제 통상관례상 부당하다고 보면서도 중국과의 교역현실을 감안, 일단 중국측 요구를 수용한 뒤 추후 마늘 수출입문제를 재조정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이에따라 마늘 1만t 수입비용을 부담하는 주체와 방식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으나 농림부와 업계의 거부로 해법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관련, 산업자원부는 13일 오전 서울 팔레스호텔에서 이희범 산업자원부 차관 주재로 폴리에틸렌(PE)과 휴대폰 수출업체 대표들과 회의를 갖고 마늘 1만t 구입비용(100억원 상당) 분담방안을 논의했으나 업체 대표들은 이를 완강히 거부했다.

업계 관계자는 "자금사정도 좋지 않을 뿐더러 폴리에틸렌과 휴대폰 수출업체가 마늘 수입비용을 부담한다는 것 자체가 온당치 않다"며 "농림부 등 정부가 해결해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농림부는 이미 작년 최소시장접근(MMA)물량 1만2천t을 농안기금을 통해 구입한 이상 추가 구입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에서 한치도 물러서지 않고 있다.

정부 일각에서는 농림부와 업계가 공동으로 부담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서울=연합뉴스) 노효동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