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희 "이석기·김재연의 멍에 벗길 의무 남아"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이정희 전 통합진보당 공동대표가 정치를 재개할 뜻을 밝혔다고 뉴스1이 1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전 대표는 11일 구당권파의 대변지로 통하는 '민중의소리'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석기, 김재연 의원의 멍에를 벗겨드릴 의무가 나에게는 여전히 남아있다"며 "노동자와 농민을 위해 공작이나 타협을 하지 말자고 (정치를) 시작한 건데 거기서 지쳐서 나도 떨어져 나가면 안 된다는 생각을 지금도 반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례대표 후보경선 부정으로 인해 폭력사태로까지 치달은 당의 정상화와 제명위기에 처한 두 의원의 명예를 회복하기 전에 은퇴할 뜻이 없음을 명확히 한 것이다. 지난 5월 12일 트위터를 통해 "침묵의 형벌을 받겠다"고 한지 두 달 만이다.

뉴스1 보도에 따르면 이 전 대표는 "지난 5월 전국운영위를 하면서 '내가 정치적으로 화형을 당해 다시 무엇인가를 영영 할 수 없게 됐구나'라는 느낌이 들었다"며 "이석기, 김재연 의원도 같이 화형대에 끌려갔는데 나 말고 또 (제물이) 필요했는지 모르겠지만 당에 적대적인 세력에게 먹잇감으로 내 준 일"이라며 당을 비판했다.

그는 이어 "제일 아팠던 것은 비난과 욕설이 아니라 '장래가 창창한 사람이 왜 그러냐. 지금이라도 반성하고 국민들 편으로 오라'는 말이었다"며 "언젠가는 한 시간이 아닌 한 마디로 설명할 수 있는 때가 올 것이라는 생각으로 참을 수 있을 거라 믿었다"고 그간의 고충을 털어놨다.

이 전 대표는 "분신으로 사망한 박영재 당원이 죽던 날 밤 조사를 쓰면서 '정권교체 못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이렇게 써야 하는데 차마 그렇게 쓸 수는 없었다"며 "억지로 조사를 썼는데 하관하고 흙을 덮고 나니 박 당원이 내 죄책감을 가져간 듯 마음이 바뀌었다"고 말해 적극적인 자세로 야권연대 등 정권교체를 위한 움직임에 나설 뜻도 밝혔다.

비례대표 후보경선 부정의 진상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주민번호가 같은 것, 현장투표에서 투표용지가 붙어 있던 일 등이 2차 조사에서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소명됐다"며 "불신과 의혹은 오해와 억측에 의해 만들어 진 것이 드러났으므로 진실에 대해 겸허하면 결국 화해가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지만 중복IP 투표 등 부정 사실에 대한 언급은 피했다.

구당권파의 핵심 세력으로 꼽히는 경기동부연합에 대해서는 "당 대표를 했는데 왜 그런 말을 안 들어봤겠느냐"며 이전과는 달리 존재를 인정했지만 "당 대표로 있던 기간 중 특정 정파의 결정에 따른 적은 한 번도 없다"고 말해 영향력은 부인했다.

당 관계자는 "이 전 대표의 정치 재개에 대한 논의는 이전부터 진행됐다"며 "이 전 대표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구당권파에서 이 전 대표를 앞세워 야권연대를 통해 정권창출에 기여할 뜻을 가지고 있지만 혁신파 내에서는 이를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해 대선 전략을 둘러싸고 다시 통합진보당 내에서 갈등이 불거질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