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네트워크 구축 '이렇게 하면 쉽다'

중앙일보

입력

독자들은 필자의 지난 16일자 컬럼을 읽고 주말 내내 숙고해본 다음 광대역에 뛰어들어 보기로 결심했을지도 모르겠다. 오늘은 독자들이 빨리 시작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것을 설명해 보겠다.

기쁜 소식은 많은 벤더들이 자사의 서비스와 제품들을 손쉬운 셋업 지침서와 함께 패키징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생각보다 훨씬 쉽다. 하지만 몇 가지 단계를 밟아야 한다.

먼저 해야 할 일은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 여기에는 몇 가지 옵션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화회사, 독립 ISP, 케이블 회사, 위성 서비스 제공업체로부터 광대역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독자들이 사는 데가 이런 옵션 중 두 가지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라면 양호한 편이다. 대부분이 하나 정도의 서비스만을 이용할 수 있는 형편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특별히 한 곳만 추천함으로써 수렁에 빠지고 싶지는 않다.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에서 지낸 필자의 경험으로는 팩벨(PacBell)이 AT&T 케이블보다 낫다. 하지만 그것은 필자가 사는 집의 경우이니, 독자들의 친구나 이웃들에게 그 지역에 맞는 추천을 부탁하는 것이 좋겠다.

일반적으로 설치업체는 독자의 집을 방문해 컴퓨터 한 대를 인터넷에 연결시키는 모뎀을 갖다 줄 것이다. 또 그들은 일종의 이더넷 어댑터를 컴퓨터에 설치하도록 제안할 것이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더넷 카드를 설치하라는 말만하고 그냥 가버린다. 설치업체는 독자들의 컴퓨터에 네트워크 제어판을 셋업한 후 떠나기 전에 모든 것이 제대로 작동한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가장 간단한 광대역 설치로써는 이것이 전부다. 독자가 원하는 것이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가 전부라면, 여기서 끝내도 좋다.

만약 한 대 이상의 컴퓨터를 광대역 서비스에 연결시키고 싶다면, 각각의 컴퓨터들이 단일 인터넷 접속을 공유하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또한 컴퓨터들을 물리적으로 상호 연결시키는 방법도 필요하다. 거기다 각각의 컴퓨터는 일종의 네트워크 어댑터를 필요로 한다(일부 컴퓨터들은 이런 어댑터들이 설치돼 나온다).

컴퓨터들을 물리적으로 연결시켜 홈 네트워크를 만드는 방법에는 세 가지가 있다.

유선 방식 이 방식에서는 이더넷 카드와 케이블이 필요하다. 기기들이 서로 가까이 있어 선으로 연결시켜도 상관없다면, 이것이 가장 저렴한 방법이다.

전화 배선 공유 방식 많은 기업들은 홈PNA라는 것을 사용해 전화선을 홈 네트워크와 공유하는 네트워킹 제품을 만들고 있다(독자들이 구입하는 기기에서 홈PNA 또는 HPNA라는 약자를 찾아 보라).

필자는 집에서 이 방법을 그다지 이용하지 않지만, 그래도 잘 작동하며 상당히 저렴한 방법이다.

무선 방식 이 방법은 컴퓨터당 100달러 안팎으로 가장 많은 비용이 드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필자가 이 방법을 사용하는 까닭은 연결선에 얽매이지 않은 상태에서 무릎에 컴퓨터를 올려놓고 작업실이나 현관문 밖에 앉아있는 걸 좋아하기 때문이다.

속도와 호환성을 확인하려면 기기에서 ''802.11b''라는 용어를 찾아 보면 된다.

필자가 추천하고 싶은 것은 특별히 DSL이나 케이블 모뎀에 연결할 수 있도록 고안된 홈 네트워킹 키트를 구입하라는 것이다. 필자는 쓰리콤 홈 커넥트(3Com Home Connect) 제품을 좋아하며 소호웨어(SOHOware) 제품들도 실험해봤는데 그것도 괜찮다.

투와이어(2Wire)는 좀더 값비싼 홈 게이트웨이를 만들고 있는데, 필자는 이에 관한 글을 이미 써놓은 상태여서 곧 검토해볼 예정이다.

모든 이런 ''홈'' 브랜드 제품들은 초보자용으로 고안된 것이며, 설치하기도 아주 쉽다. 케이블이나 DSL 모뎀에 연결하는 게이트웨이/허브에 150~400달러, 컴퓨터 한 대당 필요한 네트워크 어댑터에 50~100달러를 지불할 것을 예상하면 된다.

비용이 덜 드는 또 하나의 옵션은 독자들이 이미 소유하고 있는 윈도우 Me 컴퓨터를 사용해 인터넷 접속과 공유를 처리하는 방법이다. 컴퓨터가 홈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동안에도 그 컴퓨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윈도우 Me에 설치된 홈 네트워킹 마법사가 있는데 여기서 이 모든 것을 찾아볼 수 있다. 이것도 꽤 간단하고 훌륭한 옵션이라고 말할 수 있다.

컬럼 하나로 홈 네트워킹의 전부를 설명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미 광대역 접속이나 홈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는 독자들이 초보자들에게 조언해 주기를 바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