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경선 룰’ 첫 논의 비박 측과 입장차만 확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입장 차이만 확인했다. 새누리당 지도부와 비(非)박근혜계 대선주자 측이 15일 경선 룰 조정을 위해 처음 ‘룰 미팅’을 했지만 결론을 내진 못했다.

 이날 여의도 렉싱턴호텔에서 열린 모임에는 황우여 대표, 서병수 사무총장 등 당 지도부와 안효대(정몽준 측) 의원, 신지호(김문수 측)·권택기(이재오 측) 전 의원 등 비박(非朴)계 대리인 3명이 참석했다. 비박계 대리인들은 경선 룰 논의를 위해 별도의 기구 설치를 줄기차게 요구했으나, 당 지도부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반대했다.

 다만 지도부와 비박계 대리인들이 경선 룰을 놓고 일단 머리를 맞댔다는 정도가 성과였다. 안효대 의원은 회동 후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며 다음 회동에 대한 기대를 나타냈다. 김영우 대변인도 “이제 조율이 시작됐고 앞으로 여러 차례에 걸친 회의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선주자 간 모임도 성사될 가능성이 생겼다. 서병수 사무총장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다음 회동에는 오늘 참석한 세 대리인 외에 박근혜 전 위원장 측과 임태희·안상수 측 인사들의 참석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모임은 오전 7시30분에 시작해 2시간30분가량 진행됐다.

 양측이 경선 룰을 놓고 좀처럼 접점을 찾지 못하는 데는 네 가지 쟁점이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가장 핵심은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 여부다. 이날 양측은 찬성(비박 측)과 반대(당 지도부)로 입장이 극명하게 갈렸다.

 경선 룰 논의 기구의 성격에 대해서도 생각이 다르다. 비박계 대리인들은 논의 기구가 최고위원회의와 별도로 구성돼야 하며 각 후보 대리인과 중립적 인사들이 참여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또 별도 기구의 논의 결과를 최고위원회의가 존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지도부는 논의 기구 자체의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최고위원회의 산하에 둬야 한다는 생각이 강하다. 박근혜계 내부에선 “지금처럼 논의하면 되지 굳이 기구를 만들 필요가 있느냐”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논의 절차와 경선 일정에 대한 견해도 다르다. 황 대표는 “(주자들이) 경선 후보 등록을 해줘야 하지 않겠느냐. 그래야 대리인 모임에도 힘이 실린다”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비박계 대리인들은 “별도 기구가 생기기 전에는 후보 등록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맞섰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