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투위 사건이란]

중앙일보

입력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사건은 지난 74년 정부의 언론탄압에 맞서다 해직된 동아일보와 동아방송 기자 등이 모여 자유언론 활동을 벌이다 정권의 탄압으로 해직되면서 일어난 일련의 사건을 말한다.

74년 10월24일 오전 9시 동아일보 기자 180명이 편집국에서 `자유언론실천 선언'을 결의하면서 시작된 이 사건은 당시 학원과 종교계를 비롯해 사회 각계에서 싹트고 있던 민주화운동에 불씨를 지폈다.

동아일보 기자들로부터 시작된 동아투위 사건은 동아방송의 기자와 PD, 아나운서 등이 가세하면서 전체적인 자유언론투쟁으로 확산됐으며 정부는 광고탄압이라는 방법으로 동아일보사 경영진에 압력을 가해 75년 2월17일 관련자 113명을 강제 해직토록 했다.

해직된 기자중에는 이부영 한나라당 의원, 최학래 한겨레신문 사장, 임채정 민주당 의원 등이 있으며 이번 보상심의에는 이들을 포함해 100명이 신청했다.

강제로 해고된 동아출신 언론인 113명은 즉시 `동아자유언론투쟁위원회'를 결성하고 ▶신문.방송.잡지에 대한 외부압력 배제 ▶기관원 출입금지 ▶언론인의 불법연행 거부 등을 요구하며 언론탄압에 정면 항거했다.

이 과정에서 동아투위 관련자들의 복직을 요구하며 농성하던 조선일보기자 70여명이 해직된데 이어 전국 35개 언론사가 동아투위에 지지를 보내고 대학생과 종교단체가 성명을 내고 시위를 벌이는 등 사회적으로 큰 파문을 일으켰다. (서울=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