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관련 용어 따라잡기

중앙일보

입력

비동기 전송 모드(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
현재 이용 가능한 가장 빠른 네트워크 기술 가운데 하나. 음성, 화상 그리고 데이터를 622Mbps의 속도로 전송할 수 있다.

백본(Backbone)
일반적으로 최대 데이터 전송 능력을 가진 통신 네트워크의 부분을 일컫는 말이다. AT&T, MCI 등 대규모 통신회사들이 보유한 네트워크가 통합되어 하나의 거대한 인터넷 백본을 구성한다.

대역폭(Bandwidth)
통신 회선의 수용 능력을 일컫는 말로, 초당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측정단위로는 비트와 바우드 등이 있다.

바우드(Baud)
아날로그 회선을 타고 흐르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를 나타낸다. 아날로그 신호는 음파로 전달되며, 디지털 데이터는 일련의 0과 1의 조합을 통해 전달된다.

비트(Bit)
디지털 회선을 타고 전달되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
브리지(Bridge) : 네트워크의 각 구간을 연결하고, 이렇게 연결된 네트워크간에 패킷을 전달하는 장비.

버퍼(Buffer)
송·수신된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장소. 일반적으로 다른 데이터 전송률을 가진 두 단말기 사이에 위치한다.

캐싱(Caching)
사용자와 가까운 장소에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것. 이렇게 함으로써 필요한 경우 데이터를 빨리 이용할 수 있다.

코로케이션(Colocation)
일반적으로 통신회사에 위치한 물리적 장소를 일컫는 말로, 고객 소유의 서버를 보관하고 네트워크 백본에 직접 연결해 준다.

이더넷(Ethernet)
LAN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다. 컴퓨터를 연결하는 방법은 허브를 중심으로 컴퓨터를 연결하는 별 형태와 중앙 백본을 따라 일렬로 연결하는 버스 형태가 있다.

엑스트라넷(Extranet)
공급업체와 고객, 그리고 기업과 기업을 연결하기 위해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는 사설 원거리통신망을 일컫는다.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주문형 대역폭을 공급하는 네트워크.

호스트(Host)
사용자의 정보 혹은 ‘트래픽’을 인터넷에서 교환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허브(Hub)
컴퓨터 회선이 연결되는 네트워크의 한 지점.

인터넷 텔레포니(Internet Telephony)
인터넷을 통해 음성을 전달하는 방법의 한 가지. ‘VoIP’라고도 한다.

인트라넷(Intranet)
인터넷 표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사설 근거리통신망.

근거리통신망(Local Area Network)
회사 내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의 한 종류. LAN은 주로 근거리에 이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한 건물 혹은 인접 지역 내에 위치한 컴퓨터와 주변 기기들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관리 서비스 제공기업(Managed Service Provider)
인터넷 비즈니스에 필요한 백-앤드 기간 시설의 배치와 관리, 그리고 운영을 담당하는 외주업체.

멀티캐스팅(Multicasting)
데이터, 음성 혹은 동영상을 다수의 사용자에게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 ‘브로드캐스팅’이라고도 한다.

노드(Node)
단말기와 장비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지점.

패킷(Packet)
데이터의 한 묶음. 일반적으로 2진수(二進數) 형식으로 작성되며 네트워크 전송을 위해 특정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정보는 작은 패킷들로 나뉜 뒤 동시에 각기 다른 경로를 통해 보내지고 목적지에 도착하면 재조합을 거치게 된다.

프로토콜(Protocol)
단말기간의 정보 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규격화된 형식. IP(Internet Protocol)는 패킷과 주소 체계의 형식을 구체화한다.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는 정보를 패킷 단위로 쪼개고 다시 조합한 뒤 이를 지정된 목적지까지 운반한다.

라우터(Router)
여러 네트워크 경로 가운데 어떤 경로를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 결정짓는 데 필요한 장비. 종종 스위치를 지정한다.

SAN(Storage Area Network)
호스트 컴퓨터를 저장 시스템에 연결한다.

스위치(Switch)
들어오는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를 결정하고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장비.

통신회사 전용 회선(Telecom Lines)
통신 서비스 제공 업체에 직접 연결을 필요로 하는 기업체에서 이용하는 경우가 가장 일반적이다.
T1 회선은 1.54Mbps까지 처리할 수 있다. 45Mbps의 속도를 낼 수 있는 T3 회선은 인터넷 백본으로 사용된다.

토큰 링(Token Ring)
원형 혹은 별 모양으로 연결된 컴퓨터간에 데이터를 ‘토큰’에 담아 전달하는 네트워크의 한 유형. 토큰 링 네트워크에서는 4 또는 16Mbps의 속도로 데이터가 전달된다.

가상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
공용망의 일부분을 차단해서 사설 근거리통신망을 만든다.

광역통신망(Wide Area Network)
LAN 이외의 또다른 기업용 네트워크로 일반적으로 여러 채의 건물 혹은 여러 지역을 연결, 먼 거리에 걸쳐 네트워크를 확장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