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대우차 해외공장 실사후 처리"

중앙일보

입력

산업자원부는 대우자동차 처리문제를 빨리 마무리하기 위해 채권단과 협의해 대우차의 해외 사업부문을 정리하는 작업에 나서기로 했다.

이와 관련, 신국환 산자부장관은 12일 기자간담회에서 "채권단과 공동으로 폴란드 FSO공장 등 대우차 해외부문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여 사업장별로 매각.존속 여부를 판단할 것" 이라고 말했다.

辛장관은 "대우차 처리문제를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의 매각협상에만 매달릴 수 없으므로 GM과의 협상과 상관 없이 대우차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해외 사업장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산자부는 이번주 안에 채권단.대우차 관계자와 이 문제를 협의하기로 했다.

산자부 김영학 수송기계산업과장은 "대우차 해외사업장 정리문제는 경영상태뿐 아니라 현지 정부와의 관계까지 고려해야 한다" 며 "필요하면 외교통상부의 협조도 얻을 방침" 이라고 말했다.

실태조사가 끝나면 대우차 해외사업장 46개(판매법인 31개.생산법인 15개) 중 상당수는 개별적으로 매각되거나 청산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辛장관은 이날 오후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전력산업구조 개편설명회' 에서 "한국전력의 발전부문 분할계획을 이달 중 확정짓고, 이와는 별도로 한전의 자회사인 한전기공과 한전기술을 올해 안에 민영화하겠다" 고 밝혔다.

그는 "전력산업 전반이 민영화되면 관련 용역.기술시장도 새로 생기는 만큼 한전의 경영효율성을 높이는 차원에서 이들 자회사의 민영화를 추진 중" 이라며 "한전이 1백% 보유한 이들 자회사 지분 가운데 51% 이상을 입찰 등의 방식으로 민간기업에 넘겨 새 주인을 찾아줄 계획" 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