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문화상품 수출 100달러 늘면 소비재는 412달러 늘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7면

한류 문화상품 수출이 100달러 늘어나면 소비재 수출은 412달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2001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간 우리나라 수출 대상국 92곳에 대한 문화상품과 소비재 수출액을 조사한 ‘한류 수출 파급효과 분석 및 금융지원 방안’ 보고서를 29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문화상품 수출이 1% 증가할 때 소비재 수출이 0.03% 늘어났다. 예컨대 전체 1억 달러인 문화상품 수출이 100만 달러 증가하면 전체 140억 달러인 소비재 수출은 약 420만 달러 증가하는 식이다. 문화상품 수출이 소비재 수출을 견인하는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사실이 입증된 것이다.

 소비재 항목별로는 정보기술(IT) 제품, 의류, 가공식품에 미치는 효과가 컸다. 항목별 수출 견인효과가 가공식품 0.07%, 의류 0.051%, IT 제품 0.032% 등이었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문화상품 수출이 100달러 증가할 때 휴대전화나 가전제품 등 IT 제품 수출이 평균 395달러 늘어나고 의류와 가공식품은 평균 35달러, 31달러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수출지역별 효과는 다소 달랐다. 아시아에서는 CD나 테이프 등 음악 수출이 화장품 수출을 이끄는 효과가 높았다. 드라마나 오락 프로그램 등 방송 콘텐트는 휴대전화와 컴퓨터 등 IT 제품 수출에 도움이 됐다. 중남미에서는 CD나 테이프 등 우리 음악을 수출하면 휴대전화와 컴퓨터 등 IT 제품 수출이 가장 많이 늘어났다.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의 김윤지 박사는 “문화산업 수출이 현 단계에서는 직접적인 경제효과가 높지 않아도 기타 상품의 수출에 미치는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입증됐다”며 “K팝 등 문화산업 수출 지원을 더욱 늘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