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8월에 IMF 체제 완전히 졸업

중앙일보

입력

우리나라가 오는 8월말이면 국제통화기금(IMF) 체제에서 완전히 졸업한다.

한국은행은 6일 IMF로부터 차입한 대기성차관 58억달러를 올해 8월말까지 완전상환하기로 정부와 합의했으며 오는 8일 5억달러를 상환하는 것을 시작으로 3개월마다 20억달러씩 상환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상환일정은 IMF와 협의해 결정하지만 2월말까지 20억달러, 5월말까지 또 20억달러, 8월말까지 나머지 18억달러를 상환할 계획이다.

이 대기성 자금은 당초 올해 3월부터 상환을 시작, 오는 2004년 5월에 완료하기로 IMF와 협의돼 있었으나 IMF 측에서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수준과 국제사회에서의 위상을 감안해 조기상환해줄 것을 요청함으로써 조기상환이 이루어지게 됐다.

한국은행은 매달 4억~5억달러 가량 외환보유액이 늘어나는 추세이기 때문에 대기성 차관의 상환이 완료되더라도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950억달러수준을 유지(작년말 현재 962억 달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IMF로부터 빌린 고금리 차입금인 보충준비금융(SRF) 134억달러를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지난 99년 9월에 전액 상환했기 때문에 이번 대기성차관마저 갚으면 IMF로부터 빌린 자금의 상환은 모두 끝난다.

이재욱(李載旭) 한국은행 국제국장은 'IMF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국제시장에서 40억달러 어치의 외평채를 발행했고 세계은행(IBRD)과 아시아개발은행(ADB) 등으로부터 107억달러를 빌린 바 있으나 외평채의 경우 만기가 아직 많이 남았고 IBRD 차입금 등은 금리가 매우 싸기 때문에 아직 여유가 있다'면서 'IMF 자금 상환은 8월에 완료된다'고 설명했다.

이 국장은 또 '올해에도 무역수지 흑자가 예상되는데다 외국인 직접투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 등 외환수급에는 문제가 없다'면서 '대기성차관 조기상환에 따른 국내 시장불안은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주종국기자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