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 68% “총리 직접 뽑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일본 국민의 절반 이상이 개헌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언론들이 3일 헌법기념일을 맞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다. 현행 일본 헌법은 1947년 시행된 이래 65년간 개정된 적이 없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 조사에선 응답자의 53%가 ‘헌법을 개정해야 한다’고 답해, 반대 응답 33%를 크게 웃돌았다. 이 신문 조사에서 개헌의견이 50%를 넘은 건 2007년 이후 5년 만이다. 이 신문은 “무력공격이나 자연재해 등 국가 긴급사태가 발생했을 경우 총리에게 비상대권을 부여해야 한다는 정치권의 개헌 논리가 동일본 대지진을 계기로 국민들에게 먹히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사히(朝日)신문의 조사 결과도 비슷했다. ‘개헌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51%인 반면 ‘필요 없다’는 29%에 불과했다. 이 조사에선 총리를 국민들이 직접 뽑는 직선제에 찬성한다는 응답이 68%에 달했다. 현재는 ‘총리는 국회의원 중에서 국회의 의결을 통해 지명한다’는 헌법 조항에 따라 집권당 대표 선거에서 선출된 당 대표가 거의 자동으로 총리가 된다. 직선제 도입 여론엔 1년마다 한 번씩 총리가 바뀌는 허약한 정치토양의 극복과 강력한 리더십의 출현을 기대하는 심리가 반영돼 있다.

 그동안 나카소네 야스히로(中曾根康弘)·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전 총리 등이 총리 직선제의 필요성을 제기했지만 개헌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실패한 바 있다.

 2차대전 패전국 일본의 전쟁 포기와 군대 보유 금지를 규정한 헌법 9조의 개정에 대해 아사히 조사에선 ‘개정 반대’ 의견이 55%로, ‘개정 찬성’ 30%보다 많았다. 하지만 ‘개정 반대’가 67%, ‘개정 찬성’이 24%였던 이 신문의 2010년 조사와 비교하면 간격이 많이 좁혀졌다. 또 개헌 찬성론자들로만 범위를 좁히면 ‘9조도 개정해야 한다’는 의견(44%)이 오히려 반대 의견(43%)보다 많았다.

 “군대도 못 갖게 한 헌법은 무효며, 폐기해야 한다”(이시하라 신타로 도쿄도지사)며 보수파가 주도하고 있는 일본 내 우경화 분위기와 무관치 않다. 정권 탈환을 벼르는 야당 자민당도 자위대를 ‘국방군’으로 바꾸고, 현행 헌법상 ‘국가의 상징’인 일왕(일본에서는 천황)을 ‘일본국 원수’로 규정하는 보수색 짙은 헌법개정안을 지난달 말 발표했다. 하지만 소비세 인상 문제에 올인하고 있는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와 집권 민주당은 “개헌문제에까지 신경 쓰기 어렵다”는 입장이어서 정치권의 논의에 생각만큼 속도가 붙기는 어려워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