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의 모든 것 [3]

중앙일보

입력

P2P는 일반 인터넷 사용자에게는 기존 인터넷의 한계를 극복한 인터넷 본질에 어울리는 서비스임이 틀림없다. 개인이 굳이 특정 사이트나 서비스에 연결하지 않아도 프로그램을 구동해서 직접 전 세계의 네티즌과 연결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이 P2P의 본질이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가 운영되기 위해서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운영하는 기업은 이윤이 있어야만 한다. 특히나 개인이 정보의 주체가 되기 때문에 개인이 거래하는 디지털 컨텐트는 그 어떤 제재나 간섭이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저작권으로 공개되어서는 안되는 파일과 각종 음란 컨텐트가 무분별하게 거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결국 P2P가 앞으로도 계속 발전하고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선행되어야 한다.

디지털 컨텐트에 대한 제어

P2P로 전송되는 각종 거래 주체는 개인이며 거래물품은 디지털 파일, 디지털 컨텐트이다.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디지털의 가장 큰 장점은 변환, 복사, 전송이 자유롭다는 것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파일을 제작하고 개발한 기업이나 개인의 입장에서는 소중한 본인의 저작권과 사용권이 제값을 받지 못하고 무료로 공개되어 피해를 입게 된다는 점이다. 특히 P2P를 통해 주로 전송되는 디지털 컨텐트는 멀티미디어 파일인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파일은 개인이 유희를 위해 즐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프트웨어와는 달리 B2B 대상으로의 판매도 수월하지 않다. 그러므로 개인이 이러한 디지털 컨텐트를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비용을 지불해야만 결국 디지털 컨텐트가 도태되지 않고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이유로 디지털 컨텐트를 인증받은 사용자만 볼 수 있는 보안 암호화와 디지털 컨텐트를 구입하는 과금 처리 방식 등이 정착되어야 한다. 이러한 체계가 확실해지면 디지털 컨텐트의 전송은 자유롭지만 실제 파일을 재생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용을 처리하고 인증을 받아야만 가능하므로 P2P를 제공하는 업체는 이러한 컨텐트 판매를 통해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결국 P2P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각종 디지털 파일에 대한 제어와 확인이 서버 차원에서 자유로워야 여러가지 부가 서비스의 개발이 가능하다.

다양한 수익모델의 개발

PayPal은 전자우편 기반의 개인 결제 서비스를 통하여 효율적인 전자 결제 시스템을 P2P로 제공하여 수익을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인텔은 분산컴퓨팅 시스템을 사용하여 전 세계의 유휴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는 PC의 자원을 이용하여 슈퍼 컴퓨터로서 해결하기 어려운 계산을 수행하고 서버의 부하를 해결하는 용도로 P2P를 이용하려 하고 있다. 그 외에도 P2P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데이터 마이닝하여 추가적인 사업으로 활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P2P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에서 다단계 판매 등의 비즈니스를 개발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이렇게 다양한 방식의 P2P 수익모델을 개발하면서 P2P는 단순 파일 공유 서비스에서 탈피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특화된 형태의 서비스로 발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도 P2P를 파일 전송 외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어 생활과 업무에 보다 효율을 기할 수 있다.

기존 서비스와의 융화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P2P를 기존 서비스와 적절하게 융화시켜 나가는 것이다. P2P 이전에 이미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브라우저 시장에 이어 가장 큰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는 IM(Instant Messeging) 시장도 P2P와 결합하여 보다 강력한 서비스로 거듭 날 수 있다. 재미있는 것은 세계적인 인터넷 비즈니스 업체인 AOL은 이미 IM의 대표적인 AOL 메신저와 ICQ를 전 세계의 수천만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IM 자체적으로도 파일 전송 기능이 제공된다. 다만 P2P의 파일 공유처럼 불특정 다수와의 파일 공유와 검색은 지원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P2P의 장점과 IM의 장점을 합쳐 보다 발전적인 서비스가 지원된다면 인터넷 비즈니스의 가장 큰 무기인 충성 회원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무료 웹 메일 서비스, 채팅 서비스, 커뮤니티 서비스, 쇼핑 사이트 등에서도 P2P의 특징과 기능을 효과적으로 메인 서비스와 함께 제공하고 개선한다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강력하게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P2P 자체만의 특화된 서비스 외에 기존 서비스와의 융화를 통해서 P2P가 서비스 전반에 걸쳐 대중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면 우리의 인터넷, 컴퓨터 사용은 더욱 편리해질 것이다.

OOJOO
자료제공: PCBee (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