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Wire 내장 :: 유니텍 694Master [2]

중앙일보

입력

pcBee에 도착한 694Master보드는 리테일버전이 아닌 샘플용 화이트박스 버전으로 실제소비자가 접하게 될 제품의 구성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필자가 받은 화이트박스 버전은 메인보드와 복사된 사용설명서, 그리고 설치CD만으로 구성되어 있을 뿐이다.

보드뒷면. 셈플버전임을 알려준다
레이아웃

레이아웃면에 있어서는 몇 가지 특이한 점이 보인다. 먼저 슬롯에 있어서 6개의 PCI슬롯이 제공된다. 확장성 면에 있어서 유리한 점으로 작용될 수도 있으나 IEEE1394 포트를 사용하게 되면 구조상의 문제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5개의 PCI슬롯만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PCI슬롯이 더 제공된 것으로 보인다.

IEEE1394브라켓. 케이블이 굵다
카드를 설치할 수 없다

IEEE1394 포트는 보드상의 단자와 이어지는 브라켓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 보드상 단자의 위치가 3번 PCI슬롯의 바로 위쪽에 위치하고 있어 케이블을 연결할 경우 3번 PCI슬롯에는 카드를 설치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IEEE1394케이블의 처리에 있어서도 3번 PCI슬롯을 가로막도록 위치시켜야만 다른 슬롯을 방해하지 않고 겨우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사용 할 수 있는 슬롯은 실제로는 5개로 줄어들게 된다. 물론 IEEE1394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6개의 PCI슬롯을 모두 이용할 수 있지만 694 Master 보드를 구입하는 목적이 IEEE 1394를 사용하기 위한 경우가 많을 것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실제 사용할 수 있는 PCI 슬롯은 대부분의 보드가 제공하는 5개가 된다.

CNR슬롯

CNR슬롯의 제공 역시 재미있는 점으로 보인다. 694x보드에서는 AMR슬롯이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694 Master에서는 그동안 i815E 보드에서만 볼 수 있었던 CNR 슬롯을 제공한다. 물론 CNR이나 ARM슬롯의 실제 활용도를 생각한다면 그다지 쓰일 일은 없을 것이란 생각이지만 최상위 모델이라는 점을 부각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노스브리지. 방열판이 없다

눈에 띄는 것 중 하나는 노스브리지가 훤히 드러나 있다는 점이다. BX보드가 등장하면서부터 당연한 것으로 생각되던 방열판이 사용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사용중 이로 인해 별다른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았으나 방열대책에 신경이 많이 쓰이는 요즘 같은 경우 아무래도 심리적으로 불안한 것은 사실이다.

IEEE1394 컨트롤러
VIA AC97코덱

IEEE1394 컨트롤에는 TI사의 컨트롤러가 사용되었으며 사운드코덱은 VIA사의 AC97코덱이 사용되었다.

재미있는 부가기능은 D-LED와 Voice D-LED이다. D-LED는 4개의 LED램프로 보드의 작동상태 및 이상유무를 표시해 주는 것으로 기존의 유니텍 보드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기능이다.

Voice-LED칩

새롭게 추가된 기능은 Voice LED라는 기능이다. Voice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음성을 이용하여 보드의 상태를 전달해 주는 기능이다. 그동안 음성으로 보드의 상태를 표시해 주는 보드가 출시된다는 이야기는 몇 번 있었지만 어떤 이유에서인지 실제로 출시된 보드는 국내에서는 없는 실정이다. 694 Master에서는 기본적으로 영어모드가 사용되며 보드의 점퍼를 조정하면 중국어 음성으로도 들을 수 있다. 유니텍측에 따르면 MSI사 측에 한국어 지원을 요청한 상태이며 내년 정도에는 한국어도 가능할 것이라고 한다. 상태표시의 경우 보드에 내장되어 있는 부저를 이용하면 소리가 너무 작아 실제 케이스에 설치될 경우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이며 스피커를 이용해야 들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재생되었다. 하지만 가장 큰 문제는 볼륨크기가 아니라 음성의 재생상태이다. 재생되는 음성의 상태가 너무나 불량하여 도무지 알아들을 수가 없을 정도였다. 귀를 기울여 주의 깊게 들으면 알아들을 수 는 있었지만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아직 좀 더 두고 보아야 할 듯 하다.

이길준
자료제공: PCBee (http://www.pcbe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