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자금 막판 극적 합의

중앙일보

입력

1일 오전 11시20분 국회 운영위원장실.

"조건없는 등원이라는 게 이런거냐. (공적자금 처리가)주말을 넘기면 효과가 반감된다." (민주당 鄭均桓총무)

"공적자금 문제는 정쟁대상이 아니다. 국민 혈세를 바로 알고 쓰자는거다." (한나라당 鄭昌和총무) 공적자금 처리를 둘러싼 여야간 논란은 1일에도 계속됐다.

한나라당 정창화 총무는 정균환 총무에게 "정기국회 내 관치금융청산법도 처리해야 한다" 며 요구조건 하나를 추가했다. 총무회담은 소득없이 30분만에 끝났다.

한나라당은 두차례의 대책회의를 열고 마지노선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오후 들어 한나라당이 당초 대통령 직속으로 두자고 주장해온 공적자금관리위원회를 재경부 소속으로 두는 쪽으로 양보하는 입장을 보이면서 분위기가 달라졌다.

공적자금 국정조사를 위한 특위 위원장도 논란끝에 결국 민주당이 맡기로 했다. 의견충돌을 보여온 핵심 쟁점들을 한나당쪽이 양보하며 일괄타결지은 것이다.

두 총무는 이날 낮 라디오 대담프로(KBS '박찬숙입니다' )에서 이 문제로 논쟁을 벌였다.

정균환 총무는 "(공적자금관리위를)대통령 직속으로 두자는 건 차기 대선을 의식해 대통령에게 흠집을 내겠다는 대권 전략에서 비롯된 고도의 정치술수" 라고 주장했다.

반면 정창화 총무는 "공적자금을 관리.운영하는 기관을 재경부 밑에 두자는 것은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기자는 것" 이라고 반박했다.

재경위 간사인 한나라당 안택수(安澤秀).민주당 이정일(李正一)의원은 별도로 절충을 계속했다.

이런 가운데 민주당 내에는 '좀 양보하더라도 오늘 끝장을 내자' 는 견해도 대두됐다.

박병석(朴炳錫)대변인은 "공적자금 범위(민주당은 준공적자금을 뺀 84조원, 한나라당은 1백10조원 전액을 각각 주장)에 대해서는 유연성 있게 대처하겠다" 고 말했다.

한나라당도 두 차례의 대책회의에서 마지노선을 정했다.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는 "공적자금특별법에 대해 합의된 바가 없는 데도 여당은 마치 야당이 법안 내용과 기본원칙에 동의한 것처럼 공세를 펴고 있다" 고 불쾌해했다고 한다.

그러나 한 참석자는 "공적자금관리위를 재경부 산하에 두는 방안을 전격 받아들일 가능성도 있다" 고 막판 타결 가능성을 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