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택기 의원 "정유사 지난해 2조원 폭리"

중앙일보

입력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국내정유사들의 석유제품 세전(稅前) 공장도 가격과 싱가포르 시장에서의 수입가(비용포함 가격)를 비교한 결과 약2조원의 차액이 발생, 정유사들의 폭리가 입증됐다고 국회 산자위 김택기(金宅起) 의원이 6일 주장했다.

김 의원은 특히 무연휘발유의 수입가와 국내 세전 공장도가를 그래프로 비교,제시하면서 "국제가는 매일 변동하는 데 반해 국내가는 일정기간 계속 유지되는 가운데, 국제가가 오를 때는 오르기전에 이미 내수가에 인상분이 반영되는데도 불구하고 국제가가 내릴 때는 즉각 인하분이 반영되지 않은 채 오른 가격대로 유지되다가 일정시간이 지난후에야 내수가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어 김 의원은 "이에 따라 국내 정유사들이 가격담합을 통해 내수가를 책정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특히 "정유사들이 현행 상표표시제(폴 사인제) 취지와 어긋나게 다른 정유사 제품을 자사계열 주유소에 공급하면서도 폴 사인제를 유지하려는 것은 계열주유소를 통해 확보한 보너스카드 회원수를 바탕으로 카드사업이나 다른 유통사업으로 진출하려는 목적"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김 의원은 지난 10월말 현재 석유협회 통계자료를 인용, 각 정유사의 보너스카드 회원수가 SK 730만명, LG 580만명, 현대 198만명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