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부실계열사 워크아웃지정, 매각해야"

중앙일보

입력

한나라당 김만제(金滿堤)의원은 23일 재정경제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현대문제의 해결을 위해 현대건설 등 부실 계열사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지정과 국내외 매각 등을 요구했다.

김 의원은 이날 `현대그룹의 정리방안'이란 자료를 내놓고 "금융 계열사를 제외한 현대그룹의 지난 6월말 경영실적을 볼 때 현대건설과 고려산업개발, 현대석유화학 등 3개사는 취약한 수익성과 과다한 차임금 등으로 독자 생존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주문했다.

그는 "현대건설의 워크아웃때는 정몽헌 회장의 경영권을 완전히 배제할 필요가 있다"며 "워크아웃 즉시 매각을 추진하되 주택공사와 토지개발공사, 농업기반공사 등 정부출연 건설관련 기관이 단독 또는 공동으로 매입토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의원은 또 "고려산업개발은 최대 주주인 현대중공업 계열로 편입해 정상화를 추진하고 현대석유화학은 워크아웃 기업으로 지정해 5천억원 이상의 금융권 출자전환 후에 국내외에 매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대전자는 과다한 차입금, 열악한 원가 경쟁력, 자체 투자재원 부족 등으로 생존 가능성이 불투명하다"며 "현대정보기술과 현대택배 등 자회사와 지분 매각을 통한 대규모 외자유치 등으로 차입금을 축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의원은 "현대종합상사, 현대상선, 현대택배, 현대엘리베이터, 현대정보기술 등은 독자 생존이 가능하다"며 "현대상선은 대북사업의 부담으로 부실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대북사업 축소와 부실 계열사 지원중단, 강력한 자구노력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서울=연합뉴스) 김문성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