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새 이름 새누리당 … 박근혜, 반대파 설득해 관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한나라당이 2일부터 ‘새누리당’(영문 이름 Saenuridang)이 된다. ‘한나라당’이란 이름은 14년3개월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당 비상대책위원회는 2일 새 당명으로 ‘새누리당’을 의결하고, 13일 전국위원회에 상정키로 했다. 황영철 대변인은 이날 “전국위 의결은 안 됐지만 오늘부터 새누리당으로 쓴다”고 발표했다.

 황 대변인은 “새누리당은 새롭다는 의미의 ‘새’와 나라의 또 다른 우리말이자 나라보다 더 큰 의미의 ‘누리’가 합쳐진 것”이라며 “새로운 나라와 새로운 세상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새로운 대한민국,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대한민국, 갈등을 넘어 국민이 화합하고 하나 되는 새 세상의 의미도 담고 있다”고 덧붙였다. 당명 개정 실무 작업을 총괄해온 카피라이터 출신의 조동원 홍보기획본부장은 “공모안 가운데 가장 국민의 마음에 들 수 있을 것으로 골라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비대위엔 새누리당과 ‘새희망한국당’ ‘한국민당’이 동시에 상정됐다가 새누리당으로 결정됐다고 한다. 그러나 일부 비대위원은 새누리당이란 이름이 집권당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반대 의견을 제기했다. 김종인 위원은 “국민만 바라보고 간다고 했으니 새 당명엔 ‘국민’이란 말이 반드시 들어 가야 한다”고 지적했고, 조현정 위원도 “새누리란 단어는 희화화(戱畵化)될 우려가 있다. 힘도 없어 보인다”고 우려했다.

황우여 원내대표는 “특정 교회 이름과 비슷해 종교적 냄새가 난다”는 의견을 냈다. 한 비대위원은 “강아지 이름 같다”는 냉소적 말도 했다.

 그러나 조동원 본부장은 “어감이 가장 낫다. 당명도 이제 국가나 국민 같은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세상을 열어나간다는 쪽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근혜 위원장은 “강아지 이름에는 메리도 많고 쫑도 많은데, 메리는 성녀 마리아에서 유래됐고 쫑도 존(John)의 의미여서 안 좋은 게 아니다. 중요한 건 이름보다 (일을 잘해서) 이름의 의미를 만들어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나라당이 칭찬받을 때는 무소속 사람들도 파란색(한나라당 상징색) 옷을 입고 다녔지만 불신을 당할 땐 돌멩이가 날아와 파란색 옷을 입지 못할 때가 있었다. ‘딴나라당’ ‘두나라당’이라고도 불리지 않았느냐. 자주 쓰고 정이 들면 좋은 이름이 된다. 전문가의 말을 듣는 게 좋은 것 같다”며 조 본부장의 손을 들어줬다.

 그러나 박근혜계 핵심 인사인 유승민 전 최고위원은 이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새누리라는 당명은 가치와 정체성이 없다. 기존 한나라당보다 못하다”며 “비대위의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했다. 그는 이어 “의원총회를 열어 의원들에게 의사를 물어 당명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밤 황우여 원내대표에게 전화를 걸어 의총 소집을 요구했다. 박 위원장이 당명을 확정 발표하자마자 박 위원장의 비서실장 출신인 유 전 최고위원이 당명 개정에 공개적으로 반대함에 따라 파장이 예상된다.

 당 일각에선 총선에서 각 언론매체가 당명을 한 글자로 표기할 때 ‘새’로 표기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당 한 관계자는 “과거 새천년민주당도 ‘새’를 피하기 위해 ‘민’이라고 표기했는데 새누리당은 ‘누’라고 하기도 어색해 고민”이라고 말했다. 인터넷엔 “당가(黨歌)는 새타령으로 하라”거나 “새누리당의 이념은 진보냐, 보수냐. 통합진보당이 훨씬 쉽네”라고 꼬집는 글들도 올라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