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 40대 이후에 매년 진찰 받아야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사람의 수명이 점차 길어지면서 누구나 안과 질환을 피할 수는 없다. 특히 백내장은 평균 수명이 60세 정도 라면 별로 많지 않을 것이다. 대개 50
대 이후 생기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70~80대가 되면서 거의 대부분이 생길 수 밖에 없다. 평균 수명이 80세를 넘어가는 현재에는 대부분이 한번은 백내장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것이다. 다만 조금 일찍 하던가 조금 늦게 하던가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그러나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수술 장비의 발달과 의료 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백내장은 간단한 외래 수술이 된지 오래이고 인공수정체의 발달로 인공수정체의 종류에 따라 수술 후 대부분이 근거리와 원거리를 어려움 없이 잘 볼 수 있다. 물론 입원하거나 누워있을 필요도 없다.
 
노령화 시대에 녹내장도 문제이다. 급성 녹내장은 통증과 시력이 떨어지는 등의 증상으로 금방 불편함을 느껴 병원에 가지만 만성 녹내장은 초기증상이 없고 진행이 느리기 때문에 한참 진행되어야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또 정상 안압 녹내장도 많기 때문에 40대 이후에는 1년에 한번정도 진찰을 받는 것이 좋다. 녹내장 또한 진행이 늦어 수명이 짧은 시절에는 많지 않은 질병이었다. 그러나 다행히 좋은 녹내장약이 개발이 많이 되어 대부분 약으로 치료가가능하다.

그 외에 망막 특히 황반질환이 노인에게 많이 생기는데 이는 노령사회의 큰 문제점이고 치료도 어려운 경우가 많다. 젊을 때는 근시 등 시력문제에, 노령인구는 백내장, 녹내장, 망막질환으로 안과의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는 것 같다.
문의 02-419-5154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