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청 조사결과, 중소기업정책의 만족도 높아

중앙일보

입력

제 목중기청 조사결과, 중소기업정책의 만족도 높아기 관중소기업청구 분기타첨부화일smb2000807-1.hwp□ 중소기업청(청장 韓埈皓)은 금년 6∼7월간에 걸쳐 중소기업들과, 지원기관,대학 등 전문기관의 임직원 1,500여명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지원정책 만족에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ㅇ 조사대상자의 60.7%가 현행정책이 적정한 것으로 평가하고 전반적으로 중소기업청의 지원행정서비스수준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정책 분야별로 조사결과를 살펴보면ㅇ 중소기업지원정책면에서는 기술, 판로, 정보화를 중심으로 하여 경쟁력있는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을 병행하여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며, - 중소기업지원 행정서비스에 대하여 조사대상자의 96%가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소기업청을 중심으로 일괄지원체제를 구축해 가는것이 바람직 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ㅇ 중소기업의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창업이후 3년이내 기업을 위주로 하여전문인력 등 인프라 확충을 기해가는 것이 필요하고- 벤처기업육성에 대하여는 벤처투자조합 설치, 벤처캐피탈 육성 등을 통한 투자기반 조성과 자산가치에 대한 평가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며, 현행 확인절차는 대체로 적정한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 그리고 중소기업정책자금운영은 단일자금으로 통합하여 유망중소제조 업체를우선 지원하며, - 융자에 따른 담보 및 신용보증 조건을 완화하고, 신용대출을 확대토록 하며,- 구조개선사업은 부도기업 회생, M&A 등 구조조정, 정보화를 중심으로 추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 대부분의 중소기업이 생산기술 전문인력 부족으로 애로를 느끼고 있어, 산업기능요원의 확대와 교육훈련의 강화가 필요하며, 외국인 산업연수생도 확충될수 있도록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ㅇ 판로확보를 위하여 중소기업제품 우선구매제도의 확대, 홍보 및 시장정보제공이 긴요한 것으로 제시하였으며, - 수출유망업종으로 정보통신업을 주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ㅇ 중소기업의 기술개발지원은 사업화를 위한 응용기술을 위주로 하는 것이적절하나 전문인력 및 자금이 부족함을 고려하여,- 기술지도를 연구개발 및 컨설팅사업과 연계하여 추진하고, - KOSBIR(중소기업기술혁신프로그램)추진에 있어서는 중소기업청의 과제발굴,성과평가를 위한 노력의 확 대가 필수적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ㅇ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은 대부분 사무자동화 단계에 머물고있어,e-business와 연계하여 마케팅 능력확충과 정보망 구축 및 전자상거래 도입을추진하고 있는 기업들을 위해 기술개발과 표준화 추진에 필요한 지원이시급하다는 의견이 많았다.ㅇ 대·중소기업간 하도급거래시 대기업의 납품단가 인하와 대금 지급지연에 따른애로를 해소하기 위하여 어음제도 등의 개선이 필요하며- 중소기업 고유업종, 단체수의계약 등 직접보호제도는 업종별· 제품별 특성을 고려하여 운영하고- 여성기업과 소기업은 우선 지원보다는 경쟁력에 따른 선별지원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청은 동 조사결과를 중소기업 및 관련기관에 통보하여 정책수립 및경영전략수립 자료로 활용토록할 계획이다. 【붙임 : 설문조사통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