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계백 보고…" 페북 논란 판사 알고보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창원지법 이정렬 부장판사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하나인 페이스북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반대하는 글을 올린 인천지법 최은배(45·사법연수원 22기) 부장판사에 이어 창원지법 이정렬(42·23기) 부장판사도 비슷한 취지의 글을 올려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 부장판사는 FTA 비준안이 국회에서 강행 처리된 지난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드라마 계백을 보고 있다. 황산벌 전투가 나온다. 나라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바치는 사람과 자신을 위해 나라를 팔아먹는 사람들”이라는 글을 올렸다. 최 부장판사 보도가 나온 25일에는 “비준안을 통과시키신 구국의 결단. 결단을 내리신 국회의원님들과 한미 안보의 공고화를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시는 대통령님을 진심으로 존경합니다. 이것도 정치편향적인 글입니다”라며 비준안 통과에 비판적인 입장을 우회적으로 드러냈다. 또 “이명박 대통령 ‘한·미 FTA, 옳은 일은 반대 있어도 해야’”라는 제목의 기사에는 “대통령님의 말씀에 전적으로 동감입니다. 옳은 일은 반대 있어도 반드시 해야죠. 대통령님의 말씀 뼛속까지 깊이 새기겠습니다”라는 내용의 글을 달았다.

 이 부장판사는 26일에는 “진보 편향적인 사람은 판사를 하면 안 된다는 말이겠지. 그럼 보수 편향적인 판사들 모두 사퇴해라. 나도 깨끗하게 물러나 주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어 “페북(페이스북)도 판사는 하면 안 된다고 얘기하는 사람들도 있고… 나 페북 계속할 거야”라고 적었다. 이 부장판사는 최 부장판사와 함께 진보·개혁 성향 법관 모임인 ‘우리법연구회’ 회원으로 양심적 병역거부자에 대한 무죄 판결 등으로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앞서 최 부장판사는 지난 22일 “뼛속까지 친미인 대통령과 통상 관료들이 서민과 나라 살림을 팔아먹은 2011년 11월 22일, 난 이날을 잊지 않겠다”는 글을 올렸다. 대법원은 29일 열리는 공직자윤리위원회에 법관과 법원공무원의 SNS 사용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정을 안건으로 올려 토의한다. 위원회에서는 최 부장판사가 올린 글의 적절성과 법관윤리강령 위반 여부도 심의할 예정이다.

이동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