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안전공단입니까 교통뒷돈공단입니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정부 산하 기관인 교통안전공단(이사장 정일영)에서 임원으로 승진한 사람 중 거의 절반이 금품을 상납하는 등 인사 비리가 관행으로 자리 잡아온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인사청탁과 함께 돈을 받은 혐의(뇌물수수 등)로 교통안전공단 전·현직 임원과 노조위원장 등 4명을 구속했다고 17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인사총괄 임원을 지낸 K씨(56)는 승진 또는 원하는 근무지에 보내 달라는 청탁과 함께 7명에게서 4900만원을 받은 혐의다. 2008년까지 같은 직책을 맡았던 임원 Y씨(57)도 6명으로부터 5900만원을 받았다는 것이다. 또 노조위원장 J씨(50)는 4명에게서 5300만원을, 전직 노조 간부 D씨(56)는 10명에게서 1억1050만원을 받았다고 경찰은 밝혔다. 이들에게 돈을 건네거나 금품 전달을 중개한 직원 등 20명은 불구속 입건했다.

 공단은 인사를 앞두고 인사위원회에 들어갈 평가위원 7~8명을 비밀리에 선정하는데 인사 총괄 임원과 노조위원장은 매번 관행적으로 참여해 왔다. 승진 또는 보직 이동을 원하는 직원들은 이들에게 인사청탁 명목 또는 승진 후 사례금 등으로 1인당 500만~3000만원의 돈을 건넸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경찰은 특히 첫 임원 직급인 처장직으로 진입한 12명 중 5명이 승진 과정에서 금품을 전달했을 만큼 비리가 심각했다고 밝혔다. 직원이 뇌물을 주고 자신의 자녀를 비정규직으로 채용한 사례도 있었다. 경찰은 “비정규직이 무기(無期)계약직으로 전환되면 본인이 원할 때까지 다니는 경우가 많아 청년실업이 심각한 상황에서 간단히 넘어갈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국토해양부 산하 기관인 교통안전공단에는 이처럼 수년간 인사비리가 있어 왔지만 이번 경찰 수사 이전에 인사비리로 자체 징계한 적은 한 번도 없었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박성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