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음성인식·자동첨삭 기능 갖춘 연습 프로그램 개발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5면

말하기·쓰기에 초점을 맞춘 NEAT 안내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EBS 영어교육방송. [중앙포토]

NEAT는 기존 수능 영어와 달리 말하기·쓰기를 강화한 실용영어를 평가한다. 시험이 달라진만큼 공부법도 달라져야 한다. NEAT를 개발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EBS 영어교육방송(www.ebse.co.kr)을 통해 학교 교육만으로 NEAT를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뒀다. 온라인에서 모의 시험을 치러보는 등 NEAT를 미리 접해볼 수도 있다.

박형수 기자

컴퓨터로 말하기·쓰기 공부

NEAT에 응시하는 학생들은 시험지와 OMR 카드가 아니라 헤드셋을 쓰고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는 인터넷 방식 시험(iBT)을 치르게 된다. EBS는 음성인식과 자동첨삭 기능을 통해 학생에게 직접 피드백을 제공해주는 형태의 NEAT 연습 프로그램을 준비 중이다. EBS 홈페이지에서 영어 말하기와 쓰기를 연습하고 훈련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제시한 예시 문항은 이렇다. 교과서 속 그림을 보고 학생이 직접 영어로 묘사해본 뒤 관련된 질문에 답하는 식이다. 친구가 토요일에 영화를 보러 가자고 하는데 일요일이 더 좋겠다는 상황을 설명하게 하는 문항, 6장의 그림을 연결해 하나의 이야기로 만들어 1분간 설명하게 하는 문항도 있다. 쓰기 연습은 빈칸을 채워 맞는 문장을 완성해보거나 비슷한 단어를 찾아 새로운 문장으로 바꿔보는 연습을 할 수 있다.

 교육 콘텐트는 교과서에서 끌어왔다. NEAT가 학교 공부만으로도 영어 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개발한 시험이기 때문이다. 향후 시험에서도 교과서와 밀접하게 연계된 문제가 출제될 예정이다.

학교 수업과 연계

입시 방법이 달라지면 학교 수업도 영향을 받는다. NEAT에 말하기와 쓰기 능력 평가가 추가됨에 따라 읽기와 듣기 위주로 진행되던 학교 수업도 달라진다. EBS는 학교에서 배워야 할 학습 내용을 초등 12단계, 중등 6단계로 체계적·단계별로 나눠 교사가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자료로 제공한다. 자료는 방송용 VOD와 플래시 게임, 애니메이션 등이다.

EBS에서 사용하는 교재는 정규 교과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초등 1~2학년은 파닉스를 미리 익히게 해 3학년 교육 과정을 대비할 수 있게 했다. 초등 과정은 중학생이 됐을 때 읽기와 쓰기에 어려움을 느끼지 않게 교육하는 데 있다. 읽고 듣는 방식의 언어 연습과 말하고 쓰는 언어 활동을 적절히 분배해 게임하듯 언어를 익힐 수 있게 했다.

중학생용 교재는 문법 설명을 배제하고 듣고 읽고 써보는 언어 활동이 중심이다. 특히 말하기와 쓰기 구성을 강화해 학생들이 다양한 상황에서 실제로 영어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데 역점을 뒀다. 학교 수업에서 EBS 콘텐트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교사용 교재 개발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영어 교사용 교재와 원어민 교사용 교재를 상호보완적으로 구성하고 각 교재를 독립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게 했다.

방과후 영어 교육 사이트 개발

EBS 홈페이지에서 NEAT 관련 통합 학습 관리도 가능하다. 방과후 영어 교육을 위해 e-클래스를 개설해 교사와 학생을 위한 서비스를 개별 제공한다. 교사는 e-클래스를 통해 수업 운영과 지도안 구성, 숙제 관리, 학생 학습 관리를 체계적으로 할 수 있다. 활용 방법도 간단하다. EBS 홈페이지 아이디만 있으면 교사 홈페이지가 자동 생성된다. 교사별로 프로필과 소개글, 운영 중인 e-클래스 목록도 제공된다. 교사의 e-클래스로는 EBS가 마련해둔 차시별 방과후 영어 표준 커리큘럼이 자동 연동된다. 방송 VOD와 부가 콘텐트, 평가, 교사 개인 자료 등 다양한 수업 콘텐트로 수업 지도안을 구성하면 된다. 학생이 제출한 숙제에 대해 교사의 첨삭 기능이 제공되고 시험 문제는 문제은행을 활용·편집해 출제할 수 있다.

 학생들은 e-클래스가 제공한 진단 평가에 응시한 뒤 EBS가 제공하는 온라인 자기주도학습 콘텐트를 받을 수 있다. 과제 확인 후 제출하면 교사의 피드백을 확인할 수 있다. 말하기·듣기·읽기·쓰기 4가지 영역에서 종합적 평가가 가능하며 진도와 성취도에 따라 종합적인 학습 현황을 분석해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