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가장 성공한 탈북자 조명철 노린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조명철(左), 박상학(右)

북한이 탈북자 출신인 조명철(52) 통일교육원장(고위 공무원 가급, 옛 1급)에 대한 테러를 시도하려는 정황이 포착돼 관계당국이 신변보호 등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북 소식통은 18일 “북한이 조 원장을 요인테러 대상 인물 가운데 최고 표적으로 삼고 있다는 첩보가 입수됐다”며 “조 원장이 가진 상징성 때문에 위해를 가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일성대 교수 출신인 조명철씨는 1994년 탈북·망명한 이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일해 왔으며 지난 6월 탈북자로서는 최고위직인 통일부 산하 통일교육원장에 임용됐다. 북한은 임명 직후 조 원장을 “인간쓰레기” 등으로 극렬하게 비난했다. 소식통은 “한국에 정착한 2만 명의 탈북자 중 가장 성공한 사례인 조 원장에게 테러를 저질러 우리 사회와 국내 정착 탈북자들을 혼란과 충격에 빠트리려는 움직임”이라고 분석했다.

 관계당국은 김관진 국방부 장관을 노린 북한 암살조가 국내에 잠입했다는 사실이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진 지난달 조 원장에 대한 신변보호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으로 파악됐다. 별도 경호를 받는 김 장관과 달리 조 원장은 주로 관용차를 이용해 혼자 다니는 등 테러 위험에 노출돼 있기 때문이다.

 북한 정찰총국의 지시에 따라 독침 테러를 하려다 3일 검거된 A씨가 노린 대상도 김덕홍 전 북한 여광무역 사장과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 등 탈북자 출신 인사였다는 점에 당국은 주목한다. 김덕홍씨는 97년 4월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 비서(지난해 10월 사망)와 함께 서울에 왔으며 북한 민주화 운동을 위한 비공개 활동을 벌여왔다. 북한이 조명철 원장을 비롯한 탈북자 출신 유력인사를 목표로 삼는 건 이들의 활동을 위축시키고 탈북자 사회의 반(反)김정일 여론에 재갈을 물리려는 새로운 통일전선전술이란 해석도 나온다.

 한편 국가정보원은 6일 구속한 A씨로부터 지난해 초 정찰총국의 암살 지시를 받았다는 진술을 받아내고 북한 당국의 구체적인 지령 내용과 수법 등에 대해 수사를 벌이고 있다. A씨는 제3국에서 정찰총국 지도원으로부터 만년필형 독침 한 개와 독총 2자루를 건네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박상학 대표를 살해한 뒤 베트남으로 도주하기 위해 항공표까지 구매해 둔 것으로 확인됐다.

이영종 기자

◆정찰총국=북한 인민무력부 산하 조직으로 2009년 2월 조선노동당 작전부와 35호실, 인민무력부 산하 정찰국을 통합해 신설됐다. 지난해 3월 천안함 폭침사건과 올해 3월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교란사건을 주도하는 등 대남 공작업무를 관장한다.

사진

이름

소속기관

생년

[現] 통일교육원 원장

1959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