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IT소프트웨어는 수준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남북 교류의 활성화가 점쳐지는 가운데 북한도 정보기술(IT) 분야에서 벤처를 일으킬만한 기초체력을 갖춘 것으로 나타나 관심을 끌고 있다. 또 일부 군사.기초과학 분야에서는 한국과 비슷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알려져 과기 분야 교류를 통한 시너지 효과도 기대되고 있다.

북한의 분야별 과학기술력과 그에 따른 남북 협력방안을 짚어본다.

◇ IT분야

한마디로 ''연고경저'' (軟高硬低) 의 상황이다. 소프트웨어(軟) 는 꽤 발달했고, 하드웨어(硬) 는 낙후된 수준인 것. 포항공대 박찬모교수의 조사에 따르면 94년 개발된 워드프로세서인 ''창덕 2판'' 은 남한의 한글.훈민정음 등과 비교해도 크게 손색이 없을 정도.

또 최근에는 윈도우95용 ''창덕'' 을 개발한 것으로 미루어 북한에서도 윈도우95가 인기임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런가하면 ''단군'' 이란 프로그램은 영문 윈도우 상에서 한글을 출력할수 있고, 남한의 KS코드까지 수용, 남북한 컴퓨터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와함께 항공.해상관제 소프트웨어는 세계 최고 수준이란 게 전문가들의 의견. 이들 소프트웨어는 독일 등에서도 고가에 수입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암호 수학이 발달한 다른 공산권 국가와 마찬가지로 인터넷 시큐어리티 기술도 상당 수준에 이른 것으로 알려졌다.

박교수는 "디스켓의 파일 작성시간이 새벽 2~3시로 나타난 것들이 많다" 며 "이는 북한에서도 밤잠을 멀리하며 작업에 매달리는 컴퓨터 세대들이 적지 않다는 증거" 라고 말했다.

북한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소프트웨어의 특징은 오락과 교육을 겸하는 에듀테인먼트형이 많다는 게 박교수의 분석. 회화학습용 ''비둘기'' 나 게임을 통해 단어나 물리 공식을 익히는 ''스터디 테트리스'' 등이 그런 예. 특히 동의학(한의학) 분야 등에서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프로그램도 많아 남한이 한 수 배울 부분도 있다는 것이다.

반면 자본 부족 등으로 하드웨어 발달은 더딘 상태. 64비트 개인용 컴퓨터의 자체생산을 계획하는 정도다.

북한은 반도체쪽도 국가 중점 연구과제로 정하고 있지만 이 역시 남한과는 큰 수준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 산업기술분야

북한의 경제난이 시사하듯 산업기술 쪽은 일부 국방기술을 제외하곤 전반적으로 남한에 비해 크게 뒤지는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기술의 원동력인 전력기술 분야에서 북한은 1980년대 초까지만 하더라도 남한과 총 발전량 면에서는 엇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2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발전량의 증가는 미미하며 그나마 송배전시 전력손실률이 60% 이상에 달하는 실정. 이같이 높은 손실율은 절연체.변압기.송전선 등과 관련된 기술이 크게 떨어진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화학공업이나 금속소재공업도 1970년대 초까지는 남한과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경제난과 이에따른 저투자 등의 악순환으로 섬유.비료.시멘트 등 관련 분야 전반의 기술 발달이 정체국면이다.

기계공업 분야의 경우 낙후됐지만 국방 쪽은 꽤 발달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소 채연석박사는 "실패했더라도 인공위성의 자체 발사를 시도할 정도라면 상당한 기술 축적을 이룬 것으로 봐야 한다" 고 말했다.

또 원자력 분야도 과거 핵기술 확보에 주력한 데 비춰 방사화학 등에서는 상당한 노하우를 쌓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 원자력 전문가는 "플루토늄 추출이나 재처리 등은 남한이 전혀 보유하지 못한 기술" 이라고 말했다.

◇ 기초과학분야

북한의 기초 과학은 대체로 이론 쪽에 집중돼 있다.

고려대 정봉영 교수는 "지질학을 제외하곤 물리.화학.수학.생물학 등이 모두 실험보다는 이론이 강하다" 고 말했다.

이같은 이론 집중은 북한의 그나마 얼마되지 않는 연구개발투자가 산업기술이나 응용기술에 몰린데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이한 점은 러시아와 동구.일본과의 학문 교류가 활발하다는 것. 예컨대 수학의 경우 구소련이 발달한 미분방정식 등에 대한 논문이 북한에서도 많이 나오고 있다.

정교수는 남북한이 각각 실험.이론에 비교 우위가 있는 만큼 교류를 통해 서로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